6·4 지방선거 연기론이 나오고 있다. 세월호 여객선 침몰 참사로 온나라 온 국민이 비탄에 빠져있는 상황임을 감안하면 지방선거를 예정대로 치르기가 쉽지 않아 보이는 현실에 직면해 있다고 하겠다. 간혹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사례들이 없지 않으나 현재 지방선거 일정은 사실상 중단사태에 있다. 여야 정치권이 일체의 선거운동과 경선일정을 무기한 연기하는 조치를 취한 것도 시국의 급박함을 인식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오늘로 세월호 참사 일주일째를 맞고 있다. 실종자 가족들은 물론이고 국민 모두가 생존자가 나오기를 애타게 고대하며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하지만 불행히도 현실은 정반대로 전개되고 있는 분위기다. 구조작업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음에도, 한줄기 기적의 가능성은 점차 낮아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구조작업은 어쩌면 가장 최악의 상황인 실종자 시신 인양과의 싸움으로 전개될지도 모른다. 그런 현장과 그런 장면을 지켜보는 희생자 가족들, 국민들 애간장이 얼마나 더 타 들어갈지 가늠조차 할 수 없다.  이런 위중한 현실에서 6월 지방선거에 대한 태도를 일찍 정리하는 게 현명하지 않나 싶다. 문제는 일정대로 가느냐 아니면 늦추느냐고 늦추면 언제 치르냐 하는 것으로 요약된다. 무엇보다 이를 논하는 대전제로 진도참사라는 미증유의 국가적 국민적 비상상황임을 분명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법정 정치일정을 따르고 안 따르고의 차원이 아니라 국민들 가슴에 지방선거를 받아들일 여지가 있을지 회의적이기 때문이다. 선거는 어쨌든 정치적 축제의 성격을 띠는 측면이 있다. 그런데 국민들을 비탄의 도가니에 밀어넣은 유책사유가 없다고 하기 어려운 정치권이 지방선거에서 자당 소속 후보들에게 표를 달라고 호소한다는 것도 염치 없는 일이다.  인정하고 싶지 않아도 지금의 국민적 애도 분위기는 길어질 수 있다. 그런 기간과 맞물린 지방선거라면 여야합의 아래 일정을 늦추는 쪽으로 공론을 모아야 한다. 무한정 미루자는 건 아니고, 7월 말 재·보선 때에 지방선거를 동시에 치르는 방안을 전향적으로 검토해 봄직하다. 아무리 전국동시 선거라지만 지방선거가 이번참사에 우선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