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인들이 참사 현장을 방문, 기념사진을 찍는 낮뜨거운 행태는 아직도 여전하다고 한다. 4년 전에도 있었다. 피격된 천안함 병사를 구하러 바다로 뛰어들었다 순직한 고 한준호 준위 장례식장에서 당시 한나라당 최고위원이 그랬다고 한다. 국록을 받던 그 최고위원은 비서를 시켜 영정 앞에서 여러 장의 사진을 찍었다.  장례식장을 찾은 경기도 어느 지방선거 후보도 노골적으로 기념촬영을 하다 구설수에 올랐다. 이들은 천안함 영웅을 추모하러 간 게 아니었다. 국민적 추모 열기를 선거에 이용하려는 의도가 너무나 뻔했기 때문이다. 일부 정치인들의 꼴불견 행태는 4년이 지났건만 여전히 되풀이되고 있다. 이윤석 새정치민주연합 의원과 보좌관 3명은 세월호 참사 당일 밤 해양경찰 경비정을 타고 사고해역을 둘러보았다고 한다. 새정치연합은 “이 의원이 전남 도당위원장 책무로 현장을 둘러보고 새벽까지 가족들을 위로했다”고 해명했다. 변명은 치사하고 구차하게 들릴뿐이다. 이 의원 일행 때문에 인력과 장비가 동원되고 이로 인해 구조에 차질이 빚어진 다는것은 왜 생각하지 않는단 말인가. 직접 사고 현장에 가 보지도 못한 채 뜬눈으로 밤을 새운 실종자 가족에겐 피눈물이 나는 얘기다. 사고 현장을 방문한 정치인은 50명이 넘는다고 전해진다. 새누리당은 당 대표 등 지도부와 해당 지역구 의원이 참사 현장에 총출동했다. 김한길·안철수 새정치연합 공동대표 등 야당의 현장 방문도 이어졌다. 정치인들의 사고 현장 방문을 모두 매도할 일은 아니다. 사고를 당한 가족과 아픔을 같이 나누고 구조대책 수립에 도움이 되는 진정성 있는 방문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보다 전시성 방문이 될 가능성을 경계해야 한다. 유력인사가 올 때마다 현장 공무원들은 보고하고 수행하느라 시간을 빼앗길 수도 있다. 이들에 대한 실종자 가족들의 분노 폭발은 당연하다. 민생을 외면하고 정쟁만 일삼은 업보와 어찌 무관하겠는가. 전 국회의원이었던 모 인사는 “산소통 메고 구조 활동할 계획이 아니라면 정치인, 후보들의 현장 방문, 경비함 승선은 자제해야 한다”고 뼈 있는 말을 남겼다. 재난 사고를 당한 적이 있다는 한 공무원은 “높은 사람이 오면 자료마련과 함께 브리핑, 안내, 수행 등, 할 일이 한두 가지가 아니며 사고 조치는 뒤로 밀리게 된다”고 했다. 결코 가볍게 넘길 얘기가 아니다. 정치인들은 사고 수습에 방해되는 현장 방문을 자제하길 바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