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지 / 사회팀 기자  세월호 침몰 참사에 대한 한국인들의 분노는 한국이 발전한 만큼 정부도 그에 걸맞는 역량을 발휘해야 한다는 국민의 기대가 충족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외신들은 “말레이시아 여객기 실종처럼 세월호 침몰 참사에서도 초기 구조 활동이 혼란과 잘못된 정보로 엉망이었다. 이에 좌절하고 분노한 실종자 가족들은 현장을 방문한 정부 고위 관계자에게 물병을 던졌다”며 “한국인들은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현재의 3분의 1 수준이었던 과거와 다를 바 없는 참사가 또 벌어진 것을 받아들이지 못하며 이러한 후진국형 참사 예방을 위해 정부에 더 많은 것을 요구할 권리가 있다고 확신하고 있다”고 진단했다.세월호 침몰 참사처럼 실종자 가족의 분노를 사고 있는 말레이시아 여객기 실종 사고에는 한국을 비롯해 미국, 중국, 일본, 호주, 영국, 프랑스 등 선진국들이 군용기, 선박, 헬기, 잠수함, 수중탐색기까지 지원하며 수색에 참여하고 있지만, 아무 소득 없이 6주가 흘러가고 있다. 실종기 수색은 선진국들의 최첨단 군사 과학기술을 자랑하는 경연장으로 변했고 탑승객의 생존을 믿고 싶은 실종자 가족의 분노와 좌절은 더욱 커지고 있다.처음 실종 여객기 수색을 주도했던 말레이시아 정부는 지난달 11일 실종기가 기수를 서쪽으로 돌려 말라카해협까지 비행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혀 남중국해 수색 작업을 혼란에 빠뜨렸다. 나흘 뒤에는 실종기가 납치된 것으로 결론내렸다며 남중국해 탐색을 중단하고 인도양 수색으로 전환했다. 수색 주도권이 호주와 미국으로 넘어간 후 수색은 또 한 번의 수색지역 변경으로 남인도양에서 진행되고 있다.수색 시작부터 말레이시아 정부의 말 바꾸기에 실종자 가족의 분노와 국제사회의 비난은 거세졌다. 중국은 말레이시아가 여객기 실종 1주일 만에야 중요 정보를 공개해 소중한 시간과 자원을 허비했다고 비난하며 “현대 기술을 고려할 때 이런 정보공개 지연은 직무 태만 또는 정보 공유 거부나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세월호 침몰에 많은 나라들과 지도자들은 심심한 애도를 표하며 지원을 약속했다. 고마운 일이다.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실종자 가족들이 진실을 알게 해주고 같은 사건 재발을 막는 것이다. 참사 발생 때마다 구조와 수색에서 투명성과 역량을 보여주지는 못하면서 공분만 산다면 같은 사고를 막지 못하는 것은 물론 가족들의 분노도 잠재울 수 없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