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경찰서는 제자 등을 연구보조원으로 등록한 뒤 보조원 연구수당 등 7600여 만원을 횡령한 혐의(업무상횡령)로 구미 소재 국립대 교수 7명을 불구속 입건했다.28일 구미경찰서에 따르면 이들 교수들은 2010년 10월부터 2년여 동안 신임교수들에게 지급되는 교내학술연구비인 `신진교수 장려과제 연구비`의 지급을 신청하면서 제자, 후배, 배우자 등을 연구보조원으로 등재해 그들의 계좌와 현금카드를 보관하면서 연구비를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했다.또 등재된 연구보조원들에게는 수당을 제대로 지급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앞서 2013년 11월 이 대학교 A(42) 교수가 연구에 참여하지도 않은 자신의 배우자를 연구보조원으로 부당하게 등록해 보조원 수당과 회의비 등 1100여 만원을 부당수령한 사실이 감사원에 적발됐다.경찰은 A교수의 횡령혐의에 대해 수사하던 중 일부 다른 교수들도 동일한 방법으로 연구비를 부당하게 수령한 사실이 있다는 정황을 포착해 신진교수 장려과제 연구비 전반으로 수사를 확대했다.지난달 7일 이 대학교에 대해 압수수색영장을 집행한 경찰은 최근 3년간 지출된 신진교수 장려과제 연구비 집행내역자료 일체를 압수해 분석하는 한편 관련 연구보조원 등 90여 명의 참고인 조사와 계좌추적을 통해 교수 7명이 연구비를 부당하게 사용한 것을 확인했다.경찰 수사결과 B(47) 교수의 경우 2010년 10월부터 2012년 9월까지 자신의 전공분야 과제를 연구하면서 같은 학과 석사과정 C(30)씨 등 5명을 연구보조원으로 등록하고 이들의 계좌와 현금카드를 직접 보관·관리하면서 연구보조원 수당 4600여 만원을 수령, 개인생활비 등으로 소비했다.다른 교수들도 대부분 후배나 제자 등을 보조원으로 등록하고 같은 기간 동안 유사수법으로 각 120만∼1100만원 상당을 부당하게 수령해 횡령한 것으로 밝혀졌다. 경찰은 해당 대학에 대해 부당하게 지출된 연구비를 즉시 환수토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