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의 장외투쟁에 반대하는 당내 중도파 의원들이 28일 유민아빠 김영오씨가 단식을 중단한 가운데 장외투쟁 중단을 다시한번 촉구했다.지난 26일 장외투쟁 반대 연판장을 돌린 김영환·박주선·조경태·김동철·이찬열·황주홍·유성엽·민홍철 의원과 연판장에 참여하진 않았지만 장외투쟁에 반대하는 문병호·최원식 의원 등 총 10명은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회동을 갖고 이같이 의견을 모았다.이들은 이날 오후 박영선 국민공감혁신위원장과 만나 의견을 전달할 방침이다.연판장을 주도한 황주홍 의원은 "장외투쟁을 지속하는 것은 국민여론으로 볼 때 유리한 환경조성이 되기 어려울 것"이라며 "박영선 비대위원장을 만나서 우리의 입장을 전달하고 당의 진로 수정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겠다"고 밝혔다. 황 의원은 다만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회의장에서 매일 저녁 갖는 비상행동회의에 대해서는 "그것은 필요하다고 본다"며 "새누리당과 정부가 요지부동인데 야당이 어떻게 의견을 피력하겠느냐"라고 반문했다.김동철 의원은 "국회는 야당의 최대 투쟁 수단이기 때문에 어떤 경우에도 국회를 버릴 수 없고, 어떤 현안도 국회에서 해결해야 한다는 것을 다시 확인했다"며 "우리 당은 더 잘해야 되기 때문에 앞으로 투쟁 방향에 대해 박 위원장을 만나서 의견을 전달하고, 박 위원장은 어떤 뜻을 갖고 있는지 들어보겠다"고 말했다.김 의원은 "당의 투쟁 방향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제기한 것이지, 여당이나 박근혜 대통령의 세월호 정국 대응이 잘했다는 것은 아니다"라며 "박 대통령은 지금이라도 유족 대표를 만나야 한다. 새누리당은 유족과 국민이 동의할 수 있는 특별법을 만드는데 협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중도파`에 새롭게 합류한 최원식 의원은 "지금 이 시기를 넘기면 나중에 너무 국민들에게 (면목이 없다). 중요한 것은 협상을 안 하고 장외로만 도는 것은 진짜 의미가 없다"며 "정치인이 장외(투쟁)도 할 수 있다고 보는데 장외는 아주 예외적인 것이다. 빨리 복귀해서 국회에서 할 일을 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최 의원은 그러면서도 "(연판장에 참여한 의원들과 뜻은) 같이 하지만 약간은 온도차가 있다"고 밝힌 뒤, 당 차원의 장외투쟁 참여에 대해 "우리도 조직의 어떤 전체적인 흐름에 대해서는 따라야 된다. 그래도 그러면서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문재인 의원의 단식에 대해 "오늘이 타이밍"이라고 중단을 촉구한 뒤 "어떻게든 협상라인을 복구해야지, 협상도 못하고 밖에 다니면서 우리가 (투쟁)하니까 (여당이) 대화도 한다. 이게 얼마나 궁색한 이야기인가"라며 "우리가 주체가 되려면 빨리 (국회에) 들어와서 의사일정부터 (합의)하고 국회 내에서 협상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