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전 공동대표인 안철수 의원이 세월호특별법을 둘러싼 당내 논란에도 현안대응을 자제한 채 정중동 행보를 보이고 있다.7·30 국회의원 재보궐선거 패배 후 공동대표직을 내놓은 안 의원은 이후 국회의원회관과 자신의 지역구인 노원구 사무실을 오가는 생활을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중동(靜中動)이지만 동(動)보다는 정(靜)에 무게를 두고 있다는 측근들의 전언이다.안 의원은 다음달 정기국회 개회를 앞두고 소속 상임위원회인 보건복지위원회 현안을 점검하고 관련법안 제출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안 의원은 매주 1~2번꼴로 측근들과 만나 향후 정국에 관한 의견도 주고받는 것으로 전해졌다. 측근들은 안 의원에게 "사안마다 현안에 대응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처음으로 돌아가 긴 호흡에서 여러가지를 준비하고 숙고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당내 중도 온건 성향 의원들이 진보강경파 위주 정국대응에 반발하는 등 당내 의견이 분분하지만 안 의원은 이에 관한 입장을 표명하지 않을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전직 대표인 안 의원이 현안을 언급하는 것 자체가 대여 전략이나 정국대응 측면에서 오해를 낳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또 최근 세월호특별법 대응과정에서 나타나는 당내 진보강경파와 중도온건파 간 힘겨루기 역시 차기당권경쟁의 전초전 형태란 평이 나오는 가운데 안 의원이 평소 자신의 소신대로 중도온건파에 힘을 싣는 발언을 할 경우 의도치 않게 당내 권력투쟁에 휘말리게 될 전망이다. 일각에선 안 의원이 중도온건파와 손을 잡으면 최근 10일간 단식투쟁을 한 문재인 의원과 대비되면서 `온건 안철수 대 강경 문재인` 구도가 형성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 경우 차기 대권주자로 거론되는 두 의원 모두 특정 진영에 고립되면서 제로섬 게임에 귀착, 표 확장성을 일부 상실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아울러 안 의원의 정중동 행보는 불투명한 당 일정 때문이기도 하다.현 지도부인 박영선 국민공감혁신위원장은 당 재건을 위해 중앙당 비상대책위원회와 조직강화특별위원회, 전국 각 지역 지역위원회를 차례로 구성해야 하지만 이 작업이 세월호특별법 여야 대치상황 탓에 사실상 중단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지역위원장과 대의원을 선출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방식을 따를지 아니면 전당원투표 방식을 도입할지 여부도 결정되지 않은 상황에 안 의원이 섣불리 행보를 하기도 어려워 보인다. 다만 새 당 지도부를 선출할 전당대회를 앞두고 우호적인 대의원·당원을 확보하기 위한 각 계파의 물밑작업이 시작될 예정인 가운데 안 의원 역시 언제까지 손을 놓고만 있을 수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지지자들은 잠행 중인 안 의원에게 격려의 말을 전하고 있다. 안 의원 홈페이지에는 "여론조사 순위는 새누리가 선호하는 사람 순입니다. 다시 말해 새누리가 상대하기 쉽다는 거죠. 누가 돈 들여서 여론조사 하는지 모르지만 진실을 알려주니 감사합니다" "잔 세파에 흔들리지 말지며 황소처럼 묵묵히 전진하길 응원합니다" "지금도 늦지 않았습니다. 다시 처음부터 시작해 주세요" 등 격려 글이 게재됐다.반면 "대학에서 교수하는 게 어울림. 정치는 싸움하는 전쟁터" "안의원님, 온건파로서 소리를 내 주세요. 이대로 구경만 하고 있어서는 안 됩니다. 이건 아니에요" "도대체 지금 무엇을 하시나요! 새로운 정치에 대한 기대만 잔뜩 갖게 하고. 진짜 새정치하세요! 이 꽉물고! 먼저 세월호 특별법 처리부터 앞장서세요" 등 태도변화를 요구하는 쓴소리도 있었다.한편 안 의원의 파트너였던 김한길 의원 역시 공동대표직 사퇴 후 외부활동을 자제하고 있다. 일각에선 `김 의원이 지인을 만나기 위해 외국에 갔다왔다`, `아버지 고 김철 전 통일사회당 당수에 관한 책을 저술 중이다` 등 설이 나돌지만 측근들은 이를 부인하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