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간 위안부 해법이 공전을 거듭하는 배경에는 일본의 노력을 인정하지 않는 한국 정부의 비타협적인 태도도 한몫을 하고 있다는 주장이 일본에서 제기돼 논란이 예상된다. 오누마 야스아키(大沼保昭) 아시아여성기금 전 이사(현 메이지대 교수)는 25일(현지시간) 일본 도쿄 자택에서 외교부 방일 기자단과 만나 “(일본이) 아무리 사죄를 했어도 한국은 만족하지 않는다는 분위기가 일본에 있다”며 “(한국 정부가) 위안부 문제에 대해 지금같이 강경한 자세를 계속해서 보인다면 그것이야말로 아무 득이 없는 것을 초래할 것으로 본다”고 주장했다.오누마 전 이사는 “한국이 그렇게까지 평가를 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 지금 한일 관계·일본이 데미지를 받고 우경화 분위기가 된 것에 대해 박 대통령은 그 부분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거 아닌가 하는 우려를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그러면서 박근혜 정부를 비롯한 한국 정부의 이러한 대일 강경 기조가 아베 총리를 정점으로 한 일본 내 보수우익 세력의 결집을 부르고, 이러한 결집이 위안부 해법 마련을 어렵게 하는 악순환의 고리가 형성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오누마 전 이사는 “박근혜 대통령이 위안부 문제에 대해 지금까지 해온 것보다 더 강도 높은 사죄나 요구를 해나가면, 일본 정부가 확실한 해결책을 제시한다고 하는 것은, 일본 사회에서 허락하지 않을 것이라고 본다”며 올들어 3차례 진행된 한일간 위안부 관련 국장급 협의 등에 대해서도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그는 이어 "무라야마 담화, 아시아여성기금과 같은 똑같은 것을 (일본 정부가) 하려고 해도 현재 일본의 우경화 분위기 속에서는 일본 사회에서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고 본다”고 강조했다. 오누마 전 이사의 이러한 발언은 한국 정부가 국장급 협의 등을 통해 요구해온 일본 정부의 사과, 법적인 배상 등의 조치가 수용될 가능성은 아베 정부 들어 가속화되는 일본의 보수 우경화 흐름 등에 비춰볼 때 희박하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일본 사회가 아시아여성기금 방식의 해법조차 반대하고 있는데, 아베 신조 정부가 하물며 이러한 흐름에 역행해 법적인 배상, 사과 요구를 받아들일 수 있을 지는 의문이라는 취지다. 오누마 전 이사는 “아주 안타까운 이야기지만 지금 그때의 보상은 실패했다, 그리고 한국은 평가를 해주지 않았다, 그리고 아무리 사죄를 했어도 한국은 만족하지 않는다고 하는 분위기가 이미 일본에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러면서 “국가 간에 어떤 협상에 있어서 어느 한쪽이 백퍼센트 만족하는 협상은 있을수 없다. 외교 면에서 자주 하는 말인데 ‘상호 불만족스럽다는 것이 가장 좋은 협상’이라고 말을 한다”고 양국정부의 양보를 촉구했다. 한편, 오누마 전 이사는 무라야마 도미이치 (村山富市) 총리 당시 일본이 군 위안부 해법의 하나로 조성한 아시아여성기금의 이사를 지냈으며, 저명한 국제법 전문가로도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