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무 LG 회장이 세계 최대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는 중국 시장 챙기기에 직접 나섰다.구 회장은 1일 중국 광둥성 광저우시 첨단기술산업 개발구에 위치한 LG디스플레이 차이나(LGDCA)의 8.5세대 LCD 패널 공장 준공식에 직접 참석해 중국 정·관계 인사들과 교류하는 시간을 가졌다.구 회장은 또 이날 준공식이 끝난 후 주샤오단 광둥성장과도 미팅을 갖고 지속적인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하기로 했다. 특히 다음날인 2일에는 시진핑 주석을 이을 중국의 차세대 지도자 후보로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는 후춘화 광둥성서기와 별도로 만나 LG와 중국과의 경제협력에 대해 긴밀히 논의할 예정이다.구 회장은 지난해 박근혜 대통령의 중국 방문 시 경제사절단 자격으로 중국을 방문했으나, 중국 사업장을 찾은 것은 지난 2009년 10월 장쑤성 난징시에 있는 디스플레이 복합단지인 LG산업원 방문 이후 약 5년 만이다.구 회장이 LG디스플레이의 사업 현장을 직접 찾은 것은 갈수록 중국 시장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 최대 소비 시장인 중국은 모바일, 디스플레이, 전자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한국 업체들에 기회이자, 동시에 위협요소가 되고 있다. 구 회장은 평소에도 중국 시장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해 왔다.지난 2009년 LG산업원 시찰 당시에는 "중국은 동반성장해야 할 전략시장이니 현지 수요에 맞는 제품 개발에 더욱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2010년 신년사에서도 "세계 경제 성장의 중심이 될 중국과 인도 등 신흥시장에 긴 안목으로 현지 인재를 키우고 브랜드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지난 7월에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방한 기간 동안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 영빈관에 마련한 LG전시관을 방문했을 당시, LG의 전략 제품과 신기술을 시 주석에게 직접 안내하기도 했다. 또 구 회장은 특별히 아끼며 직접 가꿔왔던 수령 91년의 해송 분재를 선물하는 정성을 보이기도 했다.한편 LG는 한?중수교 직후인 1993년 10월 LG전자가 후이저우시에 생산법인을 처음 설립하면서 중국 현지에 첫발을 내디딘 이래, 세계 최대 규모의 시장으로 성장한 중국에서 철저하게 내수 시장을 겨냥한 사업 현지화를 진행해 오고 있다..현재 LG는 LG전자,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LG화학, LG하우시스, LG생활건강 등 6개 계열사에서 34개의 생산법인을 운영하고 있으며, LG생명과학, LG CNS, LG상사 등도 중국에 별도의 법인을 두고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뉴시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