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 방아무개는 8월15일 328고지에서 전사했고, 선임하사 김아무개도 같은 곳에서 8월21일 포탄에 맞아서 전사했고… 전쟁이 끝나고 친구 시신이라도 수습하려고 갔더니 산 하나가 백골로 뒤덮여 있어서 누가 누군지 알 수가 있어야지… "2일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MAKRI) 주최로 대구 그랜드호텔에서 열린 `6·25 참전용사 초청 유해 발굴 증언 청취 및 사업설명회`에서 만난 다부동전투구국용사회 부회장 황대형(84)씨는 그날의 기억을 떠올리면서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었다. 황씨는 1950년 6월25일, 1사단 15연대 3중대의 분대장으로 6·25 전쟁에 참전했다.같은 해 8월13일, 가장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는 경북 칠곡 가산면 `다부동 전투`에서 그의 부대원 120명 중 19명만이 살아 남았다. 19명 중에서도 현재 생존자는 단 3명이다. 전쟁 당시소대장이었던 박종우(87)씨는 "눈 감았다가 뜨면 이 친구가 쓰러져 있고, 또 감았다가 뜨면 저 친구가 쓰러져 있었다"면서 "하루에도 수십 명, 수백 명의 전우가 목숨을 잃었는데 유해도 제대로 수습하지 못했던 것이 늘 마음 아팠다"라며 눈시울을 붉혔다.전쟁이 끝난 지 60여 년이 지났지만 가족들의 품으로 돌아가지 못한 채 땅 속에 묻혀있는 유해는 무려 13만4000여 구에 달한다. 지난 2007년 유해발굴감식단이 국방부에 창설되면서 본격적인 유해발굴사업이 착수됐으나 2014년 현재까지 발견된 국군 유해는 8700여 구에 그쳤다. 이 가운데서도 유족의 품으로 돌아간 호국용사의 유해는 고작 91구뿐이다. 전쟁 당시 인식표가 제대로 보급되지 않아 유해를 발견하더라도 국군인지 적군인지 구분하기 쉽지 않은데다 유해가 묻혀있는 곳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기 때문이다.이에 유해발굴감식단은 참전용사들의 증언을 토대로 유해가 묻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전쟁터를 지목해 정밀발굴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처음 실시된 `6·25 참전용사 유해 발굴 증언 청취 사업 설명회`는 참전용사가 가장 많은 지역인 대구에서 이날 세 번째로 개최됐다. 설명회에는 다부동전투구국용사회 회원들을 비롯해 참전용사 60여 명이 참석했다.유해발굴감식단 배영아 소령은 "전쟁이 끝난 지 벌써 60년이 흘렀고 전쟁을 생생히 기억하고 있는 참전용사 어르신들도 연세가 많아 증언하기가 쉽지 않거나 이미 돌아가신 경우가 많아 시간이 촉박하다"고 말했다. 배 소령은 "많은 사람들의 관심이 무엇보다 중요한 사업"이라고 재차 강조하면서 "`마지막 한 분을 모실 때까지`라는 이념처럼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쳐 싸우신 호국용사들이 전쟁터가 아닌 유족들의 품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증언 청취는 물론 다방면으로 제보(1577-5625)를 받아 발굴을 진행할 방침이다"고 덧붙였다.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은 2014년 후반기인 9월부터 11월까지 포천, 연천, 서울 등 17곳의 주요발굴지역에서 유해발굴을 실시한다. 이미 전반기인 4월부터 7월까지 칠곡, 영천 등 22곳에서 지난해 전반기 대비 146구가 늘어난 753구를 발굴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