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7일 청와대가 규제개혁 장관 회의를 연기한 이후 규제 관련 부처들은 비상이 걸렸다. 박근혜 대통령이 정부의 규제 개혁 성과가 미흡하다는 점을 질책했기 때문이다.당시 1차 규제개혁장관회의 `끝장토론`에서 건의된 과제 52건 중 처리된 과제는 16건에 불과했다. 정부가 7월까지 처리해야 할 목표인 30건의 절반 수준이었다. 2차 회의가 8월20일에서 3일로 연기되자 국무조정실과 기획재정부는 규제 개선 과제를 놓고 총력전을 벌여왔다. 지속적으로 유관 부처를 설득하고 실시간으로 진행 상황을 점검했다. 약 2주 동안 각 부처들의 규제 개선 과제 발표가 잇따랐다. 국토부는 렌터카 업체가 11~15인승 승합차와 3000㏄ 이상 웨딩카를 빌려줄 때 운전기사를 함께 소개하는 것을 허용하기로 했다.여성가족부와 문화체육관광부는 부모의 요청에 따라 자녀가 심야시간에도 게임을 할 수 있도록 `온라인 게임 셧다운제`를 완화하기로 했다.국무조정실은 푸드트럭 영업 허용 지역을 기존 건의 사항인 유원시설보다 확대해 도시공원, 체육시설, 관광단지, 하천부지 등에서도 허용하기로 했다.기획재정부에 따르면 3일 현재 끝장토론 현장 건의 과제 52건 중 31건이 완료됐고 12건이 국회에 법안이 제출돼 대기 중이다. 푸드트럭 허용, 렌터카 운전자 알선 허용 등 9건은 부분적으로 완료된 상태다.국조실 관계자는 "건의된 내용과 다른 내용을 묶어서 한꺼번에 개선하다 보니 시간이 걸린 부분이 있었고 법 개정 사항이어서 시행 시기를 놓친 것도 있었다"며 "지자체가 조례를 개정하지 않아 완료로 처리되지 않고 계속 추진 중이었던 사례도 있었다"고 설명했다.이 관계자는 "이런 사항들을 파악해서 집중적으로 해결하다보니 짧은 시간에 완료된 과제가 많아졌다"며 "앞으로는 고칠 게 있으면 그때 그때 고치는 `원포인트 개선`을 하라고 지침을 내렸다"고 덧붙였다.민관합동 규제개선 추진단에서 기업 의견을 반영한 `손톱 밑 가시` 과제 처리에도 속도가 붙었다. 현재 전체 92건 중 79건이 조치가 완료됐고 11건이 국회에서 법안 심의 중이다.정부는 이 밖에도 전시시설 내 휴게음식점 설치 허용, 공장 내 기숙사 설립 허용, 건축물 높이 기준 완화 등 102건의 손톱 밑 가시 과제를 추가로 발굴해 개선을 추진할 계획이다.정부는 규제 개혁 추진 속도를 높이고 현재 상황을 국민들에게 상세히 알리기 위해 3일부터 규제개혁포털(www.better.go.kr)을 개편한다.각 부처 포털에서 접수된 건의사항은 `규제개혁신문고`로 직접 연결돼 일괄 처리된다.손톱 밑 가시 과제와 끝장토론 현장 건의 과제들은 처리 현황이 실시간으로 공개되고 국민 의견을 듣고 답변하는 쌍방향 소통이 강화된다.규제 개선 과제나 경제 활성화 법안 등의 국회 처리 현황에 대한 정보도 제공된다.지방자치단체 규제의 경우 인허가, 용적률 등 65개 지표에 대한 규제 강도가 지도로 표시되는 서비스가 시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