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에서 창조경제의 지방시대의 출발신호가 올랐다. 15일 대구광역시·삼성그룹·창조혁신센터간 `창조경제 구현협약` 체결하는 자리에는 박근혜 대통령도 참석해 역사적인 장면을 지켜봤다. 이 협약은 지역별 혁신센터를 대기업과 연계해 투자와 인재육성, 기술협력, 마케팅지원 등 지역 내 창조생태계를 조성하는 첫 번째 사례여서 한층 뜻이 깊다. 이를 계기로 대구가 과거처럼 한국경제의 주축이 되었으면 한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는 지역별혁신센터와 대기업을 연결하는 첫 사례로 창조경제 기능을 더 강화, 명실상부한 창조경제 구심점 역할하게 될 것"임을 강조했다. 그동안 대전과 대구에 창조경제혁신센터가 개소돼 창업기업과 대학 및 연구기관, 지자체와의 연계를 통해 창업·벤처지원에 우호적인 환경을 조성하는 데 성과를 거뒀지만, 창업기업과 대기업간 교류를 통한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에는 한계가 있었다는 반성아래 대변신을 기획한 것이다.정부는 15일 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와 삼성그룹간 협약 체결을 기점으로 지역-창업기업-대기업간 `창조경제 생태계`를 전국으로 확산할 계획이다. 그 큰 흐름에 대구가 삼성과 동반자 관계로 우뚝 선 것이다. 정부는 이를 통해 생산·마케팅 네트워크와 자금·기술력을 갖춘 대기업이 창조경제 생태계와 들어와 각 지역의 창업기업의 아이디어와 기술을 구체화하고, 사업모델 및 상품개발, 시장 개척, 해외시장 진출, 지분 투자 등을 통해 창조경제 확산에 기여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 정부가 터를 잡아 준만큼 향후 성과는 대구가 하기에 달렸다.박 대통령은 오직 창조경제 일념이다. 지난 2일에도 영상국무회의를 통해 "창조경제의 가장 중요한 키(열쇠)는 국민 개개인의 창의력을 바탕으로 한 아이디어와 기술을 접목해 새로운 사업으로 키우는 것"이라며 "정부는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17개 시·도별로 주요 대기업과 창조경제 혁신센터를 연계하는 1대1 전담 지원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다짐했다. 따라서 대구는 정부가 재정을 기울여 추진하는 창조경제의 큰 흐름에 `잘사는 대구` `비전있는 대구`로 변신해야 한다. 정부는 대구-삼성의 출발을 모델 삼아 부산과 경남 인천 등 광역자치단체마다 창조경제의 씨를 전파할 계획이다. 대구가 창조경제의 전도사 역할을 맡아 더 많은 지원을 받아 낙후된 경제를 단숨에 일으킬 절호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