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비상대책위원회는 24일 당내에 정치혁신실천위원회를 신설하고 원혜영 의원을 위원장으로 선임하도록 의결했다.새정치연합 비대위는 이날 비대위 출범에 따라 당내에 설치돼 있었던 특위를 재승인하고 정치혁신실천위원회를 신설해 이같이 의결했다고 한정애 대변인이 밝혔다.원혜영 위원장을 선임한 것은 지난 2012년 대통령선거 직후 구성된 문희상 비대위 체제의 정치혁신실행위원으로 참여해 외부 교수와 당내 인사들 간 조율하는 역할을 맡았던 점이 고려됐다. 원 위원장은 당시 `특권 다운, 책임 업` 프로젝트로 10회에 걸쳐 정치혁신에 대한 세미나와 간담회를 주도했었다.당시 원 위원장이 당 혁신방안에 깊이 개입하면서 실천 가능한 문제들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당 혁신안을 마련하는 것보다 이미 마련돼 있는 방안들을 `실천`하는데 중점을 둔 이번 위원회에 적격이라는 게 비대위의 설명이다.실제 비대위가 당 혁신 방안으로 거론했던 국회 도서관장직 개방과 민주정책연구원 독립 등의 방안은 원 위원장이 평소 주장해왔던 내용이다. 국회 도서관장 자리를 당 인사뿐 아니라 전문성 있는 외부인사에게까지 개방하고 현재 당에 소속된 민주정책연구원을 인사와 재정이 독립된 민주진보 양심진영의 싱크탱크로 내놔야 한다는 것이다. 원 위원장은 문희상 비대위 체제가 들어서자 문 비대위원장에게도 이 같은 제안을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여당의 동의를 얻을 필요 없이 새정치연합이 결단만 하면 쉽게 실행할 수 있고 국민에게 상징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성과물이 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원 위원장은 이날 선임이 확정된 후 문희상 비대위원장과 조정식 사무총장, 김기식 의원과 오찬을 갖고 정치혁신방안과 실천위 구성 등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는 실천위 구성을 최대한 빨리 마무리하고 당 차원에서 실천하면 가능한 모든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한편 비대위는 4대강 불법비리 진상조사위원회(위원장 이미경)와 을지로위원회(우원식), 공정언론대책특위(신경민), 야당탄압저지대책위원회(조정식), SNS유언비어대책위원회(김현미), 의료영리화저지특위(김용익) 등을 재승인했다. 위원장은 모두 유임됐다.또 원내에 설치해 운영됐던 남북관계발전 및 통일위원회(위원장 김성곤)와 원전대책특위(문재인)는 당 차원의 위원회로 격상시켜 구성키로 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