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지난 2006년부터 지역의 풍부한 청정에너지자원을 활용해 동해안을 세계적인 그린에너지분야 모범클러스터로 조성하는‘동해안에너지클러스터’조성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다.동해안에너지클러스터 조성사업은 2006년부터 2028년까지 태양력, 풍력, 수력, 원자력 등 동해안에 소재해 있는 풍부한 청정에너지 자원을 활용, 관련 연구인프라 구축, 우수한 전문인력 육성 등을 통해 국가 에너지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그린에너지클러스터를 조성하는 사업이다.그간 분야별로 국내 최대 연료전지 셀(Cell) 공장을 포항에 유치하는 것을 비롯해 구미와 포항에 태양광과 수소연료전지 테스트베드를 각각 구축했으며, 특히 원자력 분야에서는 포스텍 원자력전문대학원 개원, 경주 글로벌 원전기능 인력양성 사업단 개소, 울진 원자력 마이스터교 개교 등 원자력 인력양성을 위한 기반 구축과 더불어 경북테크노파크에 원전기자재 종합지원센터 개소, 경주 동국대에 차세대 제염 해체 원천기반기술연구센터 개설하는 등 연구와 생산은 물론 교육과 문화를 아우르는 원자력클러스터를 착실히 조성 중에 있다.도는 이에 머무르지 않고 동해안에너지클러스터를 세계적인 그린에너지분야 모범클러스터로 만들어 국가 그린에너지산업 발전에 기여한다는 당초 비전 달성을 위해 현시점에서 중단기적으로 분야별 사업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우선, 정책적으로 동해안에너지클러스터가 세계적인 그린에너지 클러스터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지역 에너지정책과 산업에 대한 글로벌 차원의 관심과 홍보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전제아래 세계적인 에너지 석학 및 전문가들의 관심을 유도하고 지역에너지산업을 홍보할 수 있는 월드그린에너지포럼을 UN과 함께 개최함으로써 포럼의 위상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킨다는 계획이다.또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시설 보급증대와 기술활용이 동해안 에너지클러스터의 세계적 에너지클러스터로 부상을 위한 핵심 키워드라는 차원에서 태양광발전시설 설치와 보급을 통해 농가소득 증대는 물론 신재생에너지 유익성에 대한 홍보효과도 발휘할 수 있는‘햇살에너지농사’프로젝트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동해안에너지클러스터의 성공적 조성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는 원자력분야에서는 원자력산업의 전주기적 시설구축과 전문 인력양성을 통해 국내외 원자력산업 관련 수요에 선도적으로 대응하고 세계 원자력산업 리드를 통해 동해안에너지클러스터를 세계적 에너지클러스터로 구축 하는데 기여한다는 계획이다.이를 위해‘원자력해체기술종합연구센터’와‘원자력인력양성원’설립 등을 추진한다.‘원자력해체기술종합연구센터’설립은 동해안 지역이 전국 원전 23기중 11기가 집중된 원전 집적지임에도 불구하고, 원자력안전 관련 기관이 전무한 점을 감안해 원자력해체기술 종합연구센터 설립과 함께 원전 전주기적 시설 완비를 통해 원자력산업을 국내외적으로 선도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다.경북도의 경우 이미 운영중인 원자력발전소 11기외에도 현재 건설 및 향후 계획중인 원전 9기 등 2035년까지 총 20개의 원자력발전소 운영을 비롯해 중수로 4기, 경수로 7기 등 다양한 원자로를 보유하고 있으며, 한국수력원자력, 한국 전력기술 등 원자력 관련 핵심기관 이전이 완료 직전에 있고 원자력 해체 필수기관인 원자력 환경공단 및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장 등도 보유하고 있어 연구센터 입지에 최적조건이라 할 수 있다.이에 한전KPS, 한국원자력환경공단, 한국전력기술, 두산중공업 등 해체 관련 기업들과 원자력시설 해체기술 종합연구사업 참여 및 원전지역 상생발전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관련부처와의 지속적인 협의를 하는 등 센터설립을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원자력인력양성원 설립’은 2018년까지 총 353억원을 투입해 국내외 원전현안에 대응할 수 있는 원자력 전문기술을 보유한 원전 건설 및 운영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경주시 일원에 전문교육기관을 설립하는 사업으로 경북도에서는 이미 시범사업을 2012년부터 경주에서 추진 중에 있다.원자력인력양성원이 설치되면 원자력해체종합연구센터와 더불어 보다 완전한 원자력클러스터 조성으로 시너지 효과를 내며 글로벌 원자력산업의 선진지가 될 것으로 경북도는 기대하고 있다.송경창 도 창조경제산업실장은 “동해안에너지클러스터 조성이 성공적으로 진행되면 동해안은 향후 국가 에너지산업의 중심지로서 기업유치와 일자리 창출 등 지역경제 발전에 획기적인 기여가 상당할 것이다” 며. “당초 계획한 동해안 에너지클러스터의 조속한 추진을 위해 노력하겠다” 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