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홍원 국무총리는 6일 시민사회, 언론계, 종교계, 등 사회 각계 대표들을 서울 삼청동 총리공관으로 초청해 `국가혁신 간담회`를 열었다.정 총리와 참석자들은 이날 간담회에서 ▲공직개혁 및 반부패 ▲안전혁신 ▲법질서 및 의식개혁 등 국가혁신 과제의 추진 방향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정 총리는 "국가 혁신의 성공을 위해서는 정부만이 아니라 국민의 참여가 필수적이므로 사회 각계의 다양한 의견을 실질적으로 수렴하고 반영하기 위해 `국가혁신 간담회`를 개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그는 "국가혁신 간담회를 의견 수렴과 소통의 장으로 계속 발전시켜 나가겠다"며 "국가혁신의 분위기가 사회 전반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각 분야에서 적극 동참해 달라"고 당부했다.이 자리에서 참석자들은 과거와 같은 정부 주도 개혁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사회 각계와의 협업을 통해 국가 혁신을 강력히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또 국가 혁신의 방향을 `고객 중심의 국민감동`으로 설정하고 제도 개선과 함께 지속적인 교육을 통한 의식 개혁을 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건의했다.공직개혁.반부패 분야에서는 공무원 처벌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만금 `청렴 명예의 전당`을 설치해 청렴 문화를 확산하고 공무원의 자긍심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자는 의견이 나왔다.안전혁신 분야의 경우 민간 단체와 협업을 통해 안전 진단과 안전신고를 활성화하고 안전사고의 원인 규명이 재발 방지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제도화하는 방안이 제시됐다.이날 간담회에는 ▲임현진 경실련 공동대표 ▲김병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사장 ▲김정숙 한국여성단체협의회 대표 ▲안세영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장 ▲이부섭 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회장 ▲로이 알록 꾸마르 부산외대 인도어과 교수 등 각계 대표인사 16명이 참석했다.정부는 간담회를 수시로 열어 국가혁신에 대한 민간의 의견을 수렴하고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운영해 제안된 의견을 정책에 반영해 나가기로 했다.총리실 관계자는 "이날 제시된 의견은 관계부처와 함께 적극 검토해 국가혁신 정책에 반영해 나갈 것"이라며 "간담회와 자문단 운영을 통해 분야별 실천 과제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