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지역 소비자들이 소비생활 과정에서 불만·피해를 경험해도 소극적으로 대응하고 불만·피해 처리에 필요한 소비자지식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소비자 교육의 확대가 절실하다는 주장이다.한국소비자원 대구지원은 최근 전국주부교실경북도지부·한국소비생활연구원경북지부·경주YMCA·포항녹색소비자연대 등 지역 소비자단체와 협력, 경북지역 10개 시·군 소비자 500명을 설문조사했다.그 결과 설문응답자의 절반 이상(62.4%, 312명)이 불만·피해가 발생해도 사업자에게 아무런 대응을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6일 소비자원 대구지원에 따르면 불만?피해를 입은 품목의 경우 의류?신발 등 `의생활` 품목이 44.0%(220명)로 가장 많았으며, 주로 `기대 이하의 품질`(43.8%, 219명)로 인해 불만?피해를 경험했다. 불만·피해 발생 원인은 `사업자의 허위광고`(64.4%, 322명)와 `소비자의 충동구매`(39.8%, 199명) 때문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복수응답 기준) 그러나 불만·피해가 발생했음에도 아무런 대응도 하지 않은 경우가 62.4%(312명)에 달했다. 피해 발생 시 사업자에게 처리를 요구한 경우도 37.6%(188명)에 불과했으며, 이 중에서 53.2%(100명)는 처리결과에 불만족했다고 답변했다.불만·피해 처리에 필요한 소비자지식도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대부분이 방문판매 청약철회 기간(84.4%, 422명)이나 계속거래 계약해지권(89.8%, 449명) 등 법적 권리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지 못했고, 1372소비자상담센터 상담전화번호(국번없이 1372)를 알고 있는 응답자는 18.0%(90명), `소비자분쟁해결기준`이 있다는 사실에 대해 알고 있는 응답자는 13.8%(69명)에 불과했다.설문응답자 500명 가운데 82.6%(413명)는 소비자교육을 받은 경험이 전혀 없다고 응답했다. 그 이유로는 `교육받을 기회가 없어서`가 69.0%(285명)로 가장 높았으며, 전체 응답자의 57.6%(288명)는 향후 소비자교육에 참가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한국소비자원 대구지원 관계자는 "경북지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소비자교육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라며 "향후 지방자치단체, 지역 소비자단체 등과 긴밀한 업무협력체계를 구축해 지방 소비자교육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