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균이 검출된 시리얼 제품을 재활용해 판매하다 적발된 동서식품 관계자가 "오염됐다고 버리기엔 너무 많다"고 말하자 소비자들이 격분해 불매운동에 들어 간 가운데 19일 현재 대형마트들이 전면 판매 중단조치를 취했다. 13일 식품의약품안전처갸 동서식품이 오염된 부적합 제품을 재사용한 정황을 잡고 이 회사가 제조한 시리얼 제품 `포스트 아몬드 후레이크`의 유통·판매를 잠정 금지시켰다고 밝힌지 6일만의 일이다.
식약처에 따르면 동서식품은 이 제품을 생산하면서 자체 품질검사에서 대장균군(대장균과 비슷한 세균 집합)이 나온 제품을 폐기하지 않고 다른 제품들과 섞어 완제품을 만든 정황이 발견됐다. 그에 따라 13일 식약처 관계자가 "대장균군이 검출된 제품은 압류·폐기하고, 오염 제품이 다른 제품과 얼마나 섞여 있는지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포스트 아몬드 후레이크` 제품 전체의 유통·판매를 잠정 중단시켰다"고 했지만 일주일가량이나 계속 유톨시킨 것이다. 그에 대해 동서식품 관계자는 "대장균 같은 경우는 생활 도처에 엄청 많이 있다. 그런 것들에 (시리얼이) 오염됐다고 버리기엔 너무 많다"면서 당국의 유통-판매금지 조치에 따르지 않았다는 간 큰 말을 하고 있다.
동서식품의 방자한 태도도 문제지만 당국의 대응자세도 이해하기 어렵다. 시리얼제품은 국민 상당수가 대용식으로 애용하고 있어서 과자류와 비교할 일이 아니다. 그런 만큼 대장균이 검출됐다면 당국이나 업체나 심각한 사태로 받아들여야 한다. 불량식품이 너무나 많이 나돌아 박근혜 정권이 지난 해 불량식품을 4대악에 포함시켰을 정도이다. 대통령의 추상같은 의지는 어디가고 동서식품의 간 큰 태도를 관망한단 말인가.
먹거리사고가 빈발하는 것은 워낙 법이 물렁해서 간지럽지도 않은 과태료로 해결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불량식품을 척결하려면 먼저 법 규정을 대폭 강화하여 폐업을 각오할 정도가 되어야 한다. 더불어 담당공무원들의 책임도 엄격히 묻도록 해야 한다. 신분상의 불이익이 아니라 옷을 벗기는 초강수를 쓰지 않으면 불법-탈법을 밥 먹듯 하는 썩은 기업정신을 바로 잡을 수 없다. 식품안전사고가 급증하면서 지난해 7월부터 올해 6월까지 1년간 불량식품 신고 건수가 총 6천여 건에 달했을 정도라면 이번 사태를 발본색원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