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이 세월호 이전과 이후의 대한민국은 달라져야 한다는 시대적 요구에 응답하기 위해 당내에 구성한 `새로운 대한민국 만들기 위원회`가 오는 27일까지 조직을 정비하고 본격 활동에 착수하기로 했다. 이석현 위원장은 22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위원회는 2017년 집권을 위한 브랜드로 최소한 인간다운 삶과 안전한 삶을 보장받기 위한 대안을 찾을 것"이라며 "그동안 현안별로 산발적으로 대응해온 다양한 당내 활동을 통합 운영해 시너지 효과를 내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새로운 대한민국 만들기 위원회는 노웅래 전 사무총장을 단장으로 하는 안전사회추진단과 백재현 정책위의장을 단장으로 하는 희망사회추진단 등 2개의 분과위원회로 운영된다. 각 분과위원회에는 유관 상임위의 의원들이 10여명씩 참여할 예정이다.안전사회 추진단은 안전행정위와 국토교통위 등을 중심으로 재난안전, 산업안전, 생활안전 등 3대 안전 분야에 걸쳐 직접 현장점검을 하고, 당 정책위와 민주정책연구원 차원에서 이를 뒷받침할 입법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재난안전 분야는 재연재해, 해양교통시설, 소방안전 영역 등을 포함하고 산업안전은 원자력, IT 개인정보 등 금융안전, 산업체 안전 문제를 다룬다. 또 생활안전 분야는 식품생활안전, 노후시설 안전, 가정폭력·성폭력·학교폭력 방지 등을 집중적으로 다룰 예정이다.희망사회 추진단은 보건복지위와 여성가족위 등을 중심으로 정치, 경제, 사회 문제의 대안을 마련하는 활동에 집중한다. 의견수렴과정 등을 거쳐 마련된 대안은 19대 후반기 국회의 주요 입법 의제로 다루고 2017년 집권을 위한 중장기 정책 전략으로 추진키로 했다. 정치 분야에서는 권력집중 문제와 중앙정부에 예속된 지방자치 문제, 전관예우 등의 문제를, 경제 분야에서는 가계소득 중심 성장, 조세형평성 강화, 경제민주화 추진 등에 나선다. 또 사회 분야에서는 부의 세습, 양질의 교육기회 확대, 사교육 절감, 인사탕평법 등 의제를 다루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