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원혜영 정치혁신실천위원장은 26일 새누리당 김문수 보수혁신특별위원장에게 회동을 제안하며 정개특위 구성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여야가 작은 것부터 함께 할 수 있는 공동과제 또는 권력개편을 추진할 수 있는 사항들부터 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대해 김 위원장은 환영의 뜻을 밝혔다. 양자간 회동은 따라서 조만간 성사될 것으로 보인다. 원 위원장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여야 혁신위원장간의 회동을 제안한다"며 "정개특위를 구성해 여야 함께 논의하고 공동방안을 만들어 입법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원 위원장은 "혁신이 말로만 끝났던 것은 (혁신안이) 제도화, 법제화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입법화를 하기 위해서는 여야의 협력과 공조가 필요하다"며 "새정치연합은 이미 정개특위 구성의 필요성을 제기했고 추진하고 있다. 새누리당만 결정하면 연내에 정개특위가 구성돼 가동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개특위에서는 ▲선거구제 확정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제도화 ▲독일식 정당정치와 중선거구제 도입 ▲소속 의원의 부정부패로 발생한 재보궐선거의 경우 당이 책임지고 무공천 하는 방안 등을 논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혁신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정해진 법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선거구제 획정의 경우 여야가 정치적 고려로 최종안이 변경되지 않도록 전문가로 구성된 독립기구를 만들고 결정된 사항에 대해 국회가 동의하는 방식이 돼야 한다"며 "내년 정기국회 이전에 마무리해야 법을 지키는 선거구제 나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원 위원장은 "당 혁신의 핵심과제는 계파청산이다. 공천제도를 얼마나 합리적, 객관적, 시민참여적으로 하느냐에 달려있다"며 "이번주에 공천혁신을 중점으로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 비례대표제 개혁안부터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치혁신실천위 간사인 김기식 의원도 "정개특위가 구성된다면 실천가능한 입법과제에 대해 먼저 합의를 하고 그것을 집중적으로 추진하겠다"며 "실제로 개혁법안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일하는 국회를 핵심적인 문제로 삼고 있다. 상시국감, 상시청문회 등 4대 상시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며 "또한 불체포 특권의 경우 헌법상의 원칙이 있지만 개선의 필요성을 느낀다. 방탄국회 논란 등 정치적 행위에 대해서 책임질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그는 새누리당 보수혁신특별위 활동에 대해선 "내놓은 4가지 방안 중에 단 하나도 최고위원회 등의 의결 과정이 없었다. 당내 내부반발 등을 우려해 안건 상정을 안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말로만 하고 나중에는 실천하지 않는 모습이 새누리당 혁신위의 활동"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원 위원장의 제안에 대해 새누리당 김문수 보수혁신특별위원장은 "환영한다"며 긍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김 위원장은 "국민 불신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정치혁신에 여야가 따로 있을 수 없다"며 "빠르면 빠를 수록 좋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