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단체들의 대북전단 살포가 우여곡절 끝에 사실상 무산되면서 대북전단 살포 저지를 제2차 남북 고위급접촉 개최 전제조건으로 내걸었던 북한의 추후 행보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다만 우리정부와 북한 모두 공식적인 입장 표명을 자제하며 탐색전을 벌이는 분위기라 당초 예정됐던 이달말에서 다음 달초 사이에 고위급 접촉이 성사될지 여부는 아직 불투명하다. 지난 25일 경기도 파주시 임진각 입구에선 대북전단을 날리려는 보수단체와 파주시민, 진보단체 회원 간 충돌이 벌어졌고 이 과정에서 자유북한운동연합 박상학 대표 등이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야산에서 대북전단 2만장을 풍선에 매달아 기습적으로 날려 보냈다. 하지만 당초 예상됐던 대규모 살포 계획은 무산됐다. 비록 정부가 전단살포 행위를 차단하지는 않았지만 북한이 고위급접촉의 전제조건으로 요구해온 `대북전단 살포 저지`가 사실상 관철되는 결과가 야기된 것이다. 북한은 25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당시 상황을 소개하며 "이날 괴뢰경찰은 보수단체들의 삐라살포망동을 저지시키지 못할망정 오히려 진보단체 성원들의 투쟁을 가로막았다"고 밝히며 정부의 조치에 불만을 드러내긴 했지만 고위급접촉 무산 등의 언급은 하지 않았다.따라서 북한이 고위급접촉을 우리측 제안대로 수용할지 주목되고 있다. 일단 일부 전문가들은 파주 임진각에서 벌어진 이번 소동으로 북한이 고위급접촉을 거부할 명분은 약해졌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세종연구소 정성장 수석연구위원은 26일 "어제 일부 탈북자 단체가 전단을 기습 살포하기는 했지만 전방지역 주민들과 진보단체들의 저지로 보수단체들의 대북 전단 대량 살포 시도가 무산돼 북한이 제2차 고위급접촉을 계속 거부할 명분이 약해진 것으로 보인다"며 "오늘자 노동신문에 대남 비방 기사가 거의 없는 것을 보면 북한이 제2차 고위급접촉에 나올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높아진 것 같다"고 분석했다.그러나 북한뿐만 아니라 우리정부도 임진각 소동 이후 공식 입장 표명을 자제하면서 상대방의 반응을 탐색하고 있는 상황이라 섣불리 고위급접촉 성사를 전망하긴 어려워 보인다. 정부가 제안한 고위급접촉 시점이 일주일 가량 남아있는 상황에서 북측의 최종 반응이 어떻게 나올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