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뜩이나 사회가 뒤숭숭한 터에 신용을 생명으로 여겨야 할 은행원들에 의한 금융 사고가 잇따라 여간 걱정스럽지 않다.  금융기관 직원들이 고객의 자금을 횡령하는 금융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심지어 대구사회의 절대적인 사랑 속에 고속 성장한 대구은행에서도 횡령사고가 터질 정도이니 배신감마저 들게 된다. 대구은행 직원 4명이 최근 5년간 4500만 원을 횡령해 정직처분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농협도 예외가 아니다.  농협직원 42명이 고객돈 159억3700만 원을 착복했다. 이들 속 검은 농협직원에게서 아직도 회수하지 못한 금액이 61억1900만 원이라고 한다. 금융기관 직원들이 고객돈을 제 돈처럼 손대는 짓거리는 세월이 가도 근절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 금융기관에 걸쳐 빈발하고 있다.  우리은행을 필두로 국민, 신한, 하나, SC, 씨티, 외환, 산업, 기업, 수출입, 농협, 수협, 대구, 부산, 광주, 제주, 전북, 경남 등 전국 18개 은행 모두 관련됐다.  이들 시중은행에서 지난 해 횡령 및 유용으로 적발된 건수는 총 173건이고, 터진 금융사고액은 1056억 원에 달한다. 예금이자도 거의 없는 형편에 돈만 떼일 판국인 것이다. 은행에서 이런 사건이 심심치 않게 발생하는 것은 두말할 것도 없이 도덕적 해이 때문이다. 고객돈을 자신의 돈처럼 꼼꼼히 관리해야 할 은행 직원들이 오히려 은행 내부통제시스템의 허술함을 이용해 고객돈을 빼돌리는데 급급하고, 매일 매일 직원들을 관리해야 할 고위관리들은 자신들이 해야 할 직무를 회피했다. 또한 은행들의 모럴헤저드를 감독할 금융감독원의 허술한 관리도 문제다. 금융당국도 사후약방문 식의 대응 자세에서 벗어나 사고 예방책을 마련하는 데 힘을 쏟아야 한다. 예금관리의 전 과정을 복수의 직원이 공동으로 담당하게 하는 등 금융기관 내부의 사고를 예방할 방법을 찾자면 왜 없겠는가. 당국이 ‘엄중 문책’만 강조해서는 직무태만이라는 지적을 면하기 어렵다.  은행은 과거부터 안정된 직장의 상징이고 지금도 누구나 선망하는 직업이다. 이런 은행원들이 범죄에 자꾸 연루된다면 그렇지 않아도 초저금리로 매력을 잃은 은행에 누가 돈을 맡기려고 하겠는가. 범죄행위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강력한 재발 방지책을 강구해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