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성1호기 `계속운전` 여부가 경주지역 뿐 아니라 국가적으로 올해 최대 관심사다. 다른 에너지원이 미미한 가운데 원전이 차지하는 비중이 절대적인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미국 쓰리마일, 구소련 체르노빌, 일본 후쿠시마 등의 원전 사고를 통해 원전 가동은 무엇보다 안전성 확보가 중요하다는 교훈을 뼈저리게 깨달은 바 있다. 따라서 월성 1호기가 `계속운전`이냐, `영구폐쇄`냐 하는 문제를 놓고 망설이는 것은 옳지 않다. 설계수명을 다한 원전을 단지 경제성만을 따져 계속 운전하고자 하는 것은 국민의 생명도 경재논리 앞에 무색해진다는 극히 위험한 사고방식이다.본지 29일자 1면에 월성1호기를 계속 운전해선 안 될 이유를 다룬 기사가 게재됐다. 국감현장에서 나온 자료에 의한 것이다. 여·야 의원들은 재 수명 연장을 검토 중인 부산시 기장군 고리1호기, 수명연장 검토 중인 경주 월성1호기 안전과 경제성문제를 집중 공격했다. 특히 월성 1호기의 계속운전 논란은 5년여를 끌어온 사안으로 이젠 결단을 내릴 시점이 됐다.월성1호기를 10년간 수명 연장할 경우 4630억 손해라고 한다. 낡은 원자로의 위험성은 제쳐 두고 하는 말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손익구조를 따져보면 10년간 수명 연장시 예상 총 수입액(전력판매금액) 2조1000억 원이지만 10년간의 예상 총 운영비 2조5630억 원이나 들어간다. 결국 10년간 수명 연장시 매년 463억 원씩 총 4630억 원의 손실을 입는다는 것이다. 정부가 수명연장을 추진하고 있는 월성1호기가 안전성은 물론 경제성조차 없는데도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는 결론이다.월성1호기의 수명연장을 위해 가동중단 직전 5년간 투입한 설비교체비만5783억 원이나 된다. 그것을 가산하면 순비용이 1조원(1조413억원)이 넘는다. 그야말로 “안전성도 없고, 경제성도 없고, 국민 60% 이상이 반대하는 월성1호기 수명연장을 도대체 누구를 위해서, 왜 해야 하는가"란 말이 나오고도 남는다. 안전성과 경제성에 대한 의구심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는 한 수명연장은 있을 수 없다. 지금은 폐로를 준비해야 할 때이다. 폐로과정의 경험을 축적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해외에서 원전폐로사업에 적극 진출, 더 큰 수익성을 추구하는 것이 현명하다. 거듭 말하지만 월성1호기가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에 있다고 해도 ‘계속운전’을 주장할 수 있겠는지 반성해 보기 바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