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중구청이 올초 탄소포인트제 인센티브 보조금이 부족해 탄소포인트제에 참여한 세대주 및 사업자 등에 인센티브를 지급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올초 중구청의 지난해 성과분석에 따르면 “가입세대 증가와 감축항목에 도시가스가 추가돼 탄소포인트제 인센티브 발생액이 예산대비 4000만원 정도 부족했다”면서 “국·시비 미확보로 하반기분부터 1point 당 1원으로 하향조정했으며 이에 1440만원 정도 이월했다”고 전했다.  이는 서귀포시가 지난달 초 탄소포인트제 인센티브 738만여 원 상당의 제주사랑상품권 및 종량제 봉투 등을 힘든 이웃에게 전달키 위해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기탁했다는 사실과는 너무나 대조적이다.   또 추진성과도 차이가 난다. 중구청의 지난해 말 기준으로 탄소포인트제 참여현황을 보면, 총 세대수 3만5780세대 중 가입세대는 7470세대로 가입률이 20.9%에 그쳤다. 이에 반해 서귀포시는 지난 6월말 현재 서귀포 지역 2만7880세대가 탄소포인트제에 가입해 총 세대수 대비 42.8% 가입률을 나타낸다.  중구의 동별참여현황은 성내3동이 총 2070세대 중 206세대가 참여해 가입률이 10%, 남산3동은 13.4%에 그쳤다. 남산4동은 29.5%로 가입률이 제일 높아 동 주민센터의 홍보 및 가입 협조 등의 적극적 대처로 해석된다.  중구청의 올초 탄소포인트제 운영계획에 따르면 “인센티브 보조금(국비) 부족으로 시에서는 가입세대 목표를 지난해(7300세대)와 동일하게 동결했으나, 자체적으로 7800세대를 목표치로 설정했다”고 한다. 그러면서 중구청은 “지난해 탄소포인트제 운영으로 연간 4826톤의 CO2 온실가스를 감축했으며, 이는 소나무 96만5000 그루를 식재한 효과를 발휘했다”고 설명한다. 한편, 환경부는 2018년까지 전국 탄소포인트제 가입률 목표치를 40%로 설정하고 있어 대구시와 중구청이 정부시책에 어떻게 발맞춰 나갈지 의문이 제기되는 상황이다.    탄소포인트제는 전 국민이 자발적으로 온실가스 감축을 실천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가정과 상업시설 등에서 전기, 수도, 도시가스 사용량을 줄여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할 경우, 가용 포인트를 지급하고 이에 상응하는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제도이다. 인센티브로 그린카드 포인트, 현금, 상품권 등이 지급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