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통일이 되면 통일시점으로부터 향후 20년간 국방분야 경제적 효과가 1300조원에서 2200조원 사이가 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박주현 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은 11일 한국국방연구원 학술지 `국방정책연구` 가을호에 게재한 `통일에 따른 국방분야의 비용 및 효과`란 제목의 논문에서 "한국주도형 흡수통일을 가정하고 통일시기를 2030년으로 가정했을 때 통일 후 국방 분야의 경제적 효과는 대략 1300조~2200조원 사이에 해당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박 위원은 "남한의 국방비 축소 효과의 불확실성이 기준치 대비 약 1%포인트 내외로 변화한다고 보면 통일 후 20년간 남한 국방비 감축효과는 대략 520조~870조원이 될 것"이라며 "북한 군사비의 경우 불확실성이 상대적으로 더 크기 때문에 대략 2%포인트 내외의 변화 가능성을 고려하면 570조~750조원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그는 "주식시장이나 외채 이자 경감의 경우 경기상황과 금융상황 변화를 고려할 때 주식시장 증대효과의 범위는 87조~161조원이고 외채 이자 경감은 39조~72조원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박 위원은 또 "북한 병력 감축효과도 통일 전후의 북한 국내총생산 증가율 불확실성을 감안했을 때 125조~333조원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외교부, "위안부 해결 노력 배가"韓日정상 대담 후속조치   외교부가 11일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 간 만찬 대화 내용 후속조치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 노력을 배가하겠다고 밝혔다. 외교부 노광일 대변인은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두 정상은 이번 대화에서 다양한 현안을 논의했으며 일본군 위안부 문제 관련 한일 국장급 협의가 잘 진행되도록 독려해 나가기로 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대화 내용을 전했다.노 대변인은 그러면서 "정부로서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이 고령인 점을 감안해 하루라도 빨리 피해자들이 납득할 수 있는 해결방안이 도출될 수 있도록 외교적 노력을 계속 경주해 나갈 예정"이라고 방침을 밝혔다.그는 양국 정상간 대화 배경에 관해선 "한일 정상 간의 대화는 두 정상이 옆자리에 앉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이뤄진 것으로 알고 있다"며 "APEC 만찬 시에 자리 배열은 아마 정해져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이 밖에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대신도 이날 기자회견에서 양국 정상간 대화에 관해 "4월부터 일한 양국이 정기적으로 개최하고 있는 국장급협의를 원활하게 전진시키자는 데 의견이 일치했다"고 말했다고 일본 교도통신이 전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