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보수혁신특별위원회 자문위원인 홍준표 경남도지사가 12일 혁신위에 참석해 `무노동 무임금` 원칙 관련 혁신안에 대해 "국회의원을 일당 노동자로 전락시키려 하느냐"며 쓴소리를 했다. 홍 지사는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혁신위 전체회의에 처음으로 참석해 혁신위가 발표한, `국회의원이 구속되거나 국회가 파행돼 공전할 경우 세비를 지급하지 않는 안` 등에 대해 "마치 국회의원을 일당 노동자처럼, 일당 개념으로 `넌 출석 안했으니 얼마를 빼겠다`는 것은 쩨쩨한 것"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국회의원의 특권을 인정하되 그 특권으로 열심히 일하고 국민을 위해 사용하는 길을 열어주는 게 맞지, 무조건 헌법에 있는 특권을 내려놓으라는 것은 잘못됐다"며 "국회의원은 열심히 일해야 하는 국가 지도자 급인데 어떻게 일당 노동자로 전락시키는 발상을 하는지, 나는 그게 잘못됐다고 본다"고 밝혔다. 홍 지사는 특히 "국회의원들을 폄하하고 비하하는 것은 또 다른 폭풍을 몰고 올 것"이라며 "무노동 무임금을 하자는 것은 김문수 위원장 노동운동 할 때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지금 혁신안이, 대상을 바로 국회의원으로 삼았다는 것이 김 위원장의 미스"라며 "국회의원을 대상으로 하는 건 마지막에 해야 한다"고 말했다. 홍 지사는 "의원총회에서 인준도 받아야 하고 최고위원회 인준도 받아야 한다"며 "의원들의 인준을 받으려면 제일 먼저 의원들에게 칼을 들이대는 것은 아니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국회의원들의 특권을 인정하는 가장 큰 이유가 소신 있게 열심히 일하라는 거다. 미국의 경우에도 의원이 되면 세비 외에 1인당 250만 달러를 준다. 또 국내선은 전부 무료로 탄다. 문제는 범죄수단에 악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라며 "국회의원들이 열심히 일하게 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게 우선"이라고 밝혔다. 한편 홍 지사는 지난 2006년 당시 한나라당 혁신위원장 때의 경험을 언급, "당시 사무총장이 혁신안을 반대하는 데 가장 앞장섰다. 당시 운영위원회에서 벌떼처럼 일어나 무려 8시간을 반대했다"고 말했다. 당시 사무총장은 현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다. 그는 "김 대표가 이번에는 반대하지 못할 거다. 이번에는 자신이 공들인 거니 전적으로 존중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혁신위원) 여러분의 뜻이 전혀 꺾이지 않을 것이라 본다"고 밝혔다. 홍 지사는 아울러 김문수 위원장이 지난 11일 "대통령 선거에 출마할 사람은 주요 당직을 맡으면 안 된다"고 말한 데 대해서도 "혁신위원장이 대표와 각을 세우면 안 된다"고 말했다. 그는 "그런 말은 필요없이 자극하는 거다. 대표와 각을 세우면 될 것도 안 된다. 김 대표는 개인적으로 찬성했다고 했지 않나. 그러면 당이 다 찬성한 거 아니냐"며 "김 대표와 잘 지내야 한다"고 충고했다. 홍 지사는 혁신위에서의 발언 직후 기자들과 만나서도 "국회의원 특권은 헌법상 특권이다. 내려놓을 수 없다"며 "특권을 악용하는 사람들을 어떻게 징벌할 건지, 어떻게 열심히 일하는 분위기를 만들 것인지를 (논의하는 게) 올바른 일이지, 헌법상 보장된 국회의원 특권을 헌법을 개정하지 않고 내려놓으라는 건 제대로 된 방향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러면서 "한국 사회 보수 진영이 안고 있는 부패와 탐욕, 진보 진영보다 도덕적 우위에 설 수 있는 의제를 설정하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며 "당 안의 문제에만 집착하지 말고 한국 보수 사회를 개선할 여지가 없는지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홍 지사는 선거구 획정위원회의 국회 내 존치 여부에 관해 "(선거구 획정을) 국회에서 하는 것은 자연적 정의에 반한다. 자기 스스로 자기를 정하는 것"이라며 "외부 기관에 맡기는 게 맞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