억류미국인 석방을 계기로 북한 핵문제 해결을 위한 6자회담 재개 문제가 국제외교무대에서 다시 거론되기 시작하면서 정부의 대응이 주목된다.  2008년 12월 마지막 회담 이후 북한의 핵실험과 로켓발사, 미사일 발사 탓에 6년 가까이 중단된 6자회담이 재개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정부는 남북대화만으로 북핵문제를 해결하기는 어렵다는 사실을 인정하면서 미국·중국·일본·러시아가 공조해야 한다는 점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모든 당사국이 모이진 않더라도 북한과의 양자대화나 3자대화를 통해 계기를 마련한 뒤 당사국 전체가 모이는 회담을 개최하는 식의 단계적인 접근을 해야 한다는 게 정부의 입장이다.다만 정부는 6자회담 재개를 동북아 외교의 시급한 과제로 보면서도 무작정 회담만 열고 보자는 식의 접근은 하지 않겠다는 방침이다. 실제로 정부는 지난 7월 한중 정상회담에서도 `북한이 비핵화 의지를 대외적으로 보여줘야 6자회담을 재개할 수 있다`는 조건을 제시한 상황이다.아울러 정부는 `한반도 비핵화에 관한 한미중 3국의 공조가 어느 때보다 단단하다`는 표현을 거듭 쓰면서 무조건적인 재개를 요구하는 북한을 압박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과 중국 등 6자회담 주요 당사국들 사이에서는 최근 회담 재개 필요성 등을 강조하는 움직임이 나오고 있어 주목된다. 북한이 미국인 인질을 잇따라 석방하면서 나름 서방국들과의 관계개선을 모색하려는 의도를 보이고 있는 점을 감안한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 맨스필드재단 프랑크 자누지 대표는 전날 미국 워싱턴 DC 존스홉킨스대 국제대학원(SAIS)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미국이 6자회담 재개의 전제조건을 완화할 가능성이 있고 북한이 이에 호응한다면 내년 초 6자회담이 재개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아울러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도 최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 당시 6자회담 재개 조건 완화를 암시하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6자회담 재개를 위해 조만간 변화된 자세를 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