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산이 커진다. 최근 침산이마트, 오페라하우스가 있는 남침산네거리를 중심으로 반경 2km 이내 재건축,재개발이 침산생활권 안에서 활발히 움직이고 있다. 지난달 15일, 박근혜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대구 북구 칠성동 옛 제일모직터에 들어설 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식이 열린 후, 수요자들의 반응은 더욱 뜨거워지고 있다. 옛 제일모직 부지는 창업보육센터와 예술가 작업공간, 중소벤처용 오피스, 사업시설, 주민문화센터, 창업기념관 등으로 조성될 예정으로 총 900억원이 투입돼 오는 2015년 7월 착공, 2016년 12월 준공될 예정이다.인근 부동산중개소에 따르면, “ 대구은행 제2본점 건축에 이어 삼성 창조경제단지 발표 후, 침산동 인근에는 아파트 등 부동산 시세의 오름폭이 커지고 있으며, 분양권 및 주택 등의 매매도 매수자가 더 오를 것을 기대하여 물건을 거둬들이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전했다. 뿐만 아니라 인근 재건축 재개발지구의 신규분양단지에도 실수요자는 물론 투자자까지 문의전화가 부쩍 늘고 있다. 대구시가 지난 2009년부터 대구도심재생 기본구상 위에 ‘살기좋은 도심, 살아있는 도심’, ‘다양하고 재미있는 도심’, ‘문화와 지식의 도심’, ‘쾌적한 도심, 걷고 싶은 도심’ 등의‘도시재생의 5대 목표’를 설립하고, ‘대구근대역사벨트 조성사업’, ‘도심랜드마크적 복합용도개발사업’ 등 ‘9대 도심전략사업’을 수립, 실행하고 있다.정부정책도 도심재생에 무게를 실어주고 있다. 사실상 9.1부동산대책이 택지개발촉진법 폐지 및 재건축 연한 단축, 주책청약가점제(청약제) 단순화 등으로 요약할 수 있고, 전국적으로 하반기 분양시장은 대규모 택지개발에서 재건축 도심 재개발로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9.1부동산 대책가운데 부동산시장이 가장 크게 반응한 것은‘재건축 완화’다. 재건축 허용 연한 단축과 안전진단 규제 완화로 재건축 가능시기가 빨라진 노후 단지를 중심으로 매도자의 기대심리가 반영되며 처분시기가 뒤로 미뤄지고 가격이 오르는 양상이다. 더불어 대규모 택지개발은 원천봉쇄 된 셈이다. 신도시, 보금자리주택 같은 대규모 택지개발을 통한 주택공급도 사실상 중단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대규모 택지공급 시스템인 ‘택지개발촉진법’은 폐지되며, 오는 2017년까지 3년간 대규모 공공택지 지정이 중단된다.따라서 하반기 분양트렌드의 키워드는 역세권과 도심재생으로 보인다. 이러한 추세에 맞춘 침산생활권의 역세권에 대단지 도심재생아파트가 개발되고 있어 올 연말 분양시장을 뜨겁게 달구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