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16일 세월호 참사 이후 박근혜 대통령이 약속한 국가 재난 컨트롤 타워가 19일 출범한다. 생때같은 아이들의 목숨을 잃는 이 같은 실수를 다시는 반복하지 않겠다는, 국가 차원의 조직이라 온 국민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하지만 18일 박근혜 대통령이 발표한 장차관의 면면을 보면 제복을 입은 이들로 채워졌다. 현장 대응에 익숙한 이들이지만,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한 예방책 마련을 위한 브레인은 보이지 않아 평시 준비가 소홀한 조직으로 흐르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국민안전처 장관은 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8년 3월21일 합동참모본부 차장을 끝으로 퇴역한 박인용(62·해사 28기) 예비역 해군 대장을 발탁했다. 차관에는 예비역 육군 중장 출신인 이성호(60·육사 33기) 안전행정부 2차관을 선택했다.차관급인 중앙소방본부장에는 조송래(57) 소방방재청 차장을, 해양경비안전본부장에는 홍익태(54) 경찰청 차장을 선택했다.국민안전처의 장차관을 비롯해 차관급까지 정무직 4명 모두 전직 군 장성과 경찰관, 소방관으로 채운 것이다. 이같은 인사가 이뤄진 이유로는 세월호 참사 당시 신속한 현장대응이 부족했다는 비판 때문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미 지나간 사건에 얽매여 예방과 대비에 소홀할 수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다시는 세월호와 같은 사고가 없게 하려면 기존의 시스템을 개선하고 허점을 찾아내 바로잡는 브레인 역할을 할 인물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특히 박근혜 대통령이 국민안전처를 국방부나 경찰청과 같은 상명하복식 조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통상 재난관리는 4단계로 나눠 보고 있다. 한국행정연구원이 2011년 내놓은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재난관리는 예방·대비·대응·복구 과정으로 이뤄진다. 이 모든 과정에서 조직 구성원간 유기적 연계성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재난 발생 전 단계인 예방과 대비에서는 재난안전관리 계획을 세우고 예방조치와 재난관리 체계 정비, 교육, 훈련 관리 표준화, 재난정보통신체계나 비상대처계획(ESP)도 세워야 한다. 재난이 발생한 후 단계인 대응과 복구는 응급대책과 구조구급활동, 재난지역선포와 조사, 항구적 복구가 주축이다.하지만 이번 인사만 놓고 보면 재난 발생 이전 단계에서 발군의 실력을 발휘할 인물이 보이지 않는다. 일이 터지고 난 다음에 구조구급이나 복구를 일사천리로 진행하는 데는 적임자일지 모르나, 재난 자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브레인 역할을 담당할 인물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재난 관련 한 전문가는 "신설 국민안전처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지키기 위해서는 재난 전 단계에서 대비책을 마련할 수 있는 인재를 등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지금의 인적 구성은 현장 대응에 적합할지 모르나 장기적 안목에서 민간 전문가들로 자문단을 꾸리거나 장관을 보좌해 관련 정책을 입안할 수 있는 조직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