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래시장 살리기에 각 지자체가 나서고 있지만 대다수의 상인들이 ‘원산지’ 등을 표기하지 않아 소비자를 위한 관리·감독엔 뒷전이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해당구청에서도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18일 오전 11시께 대구 중구 대신동에 위치한 서문시장은 상인들의 판매홍보와 물건을 구입하려는 손님들로 분주했다. 시장 초입부터 큼지막한 고추와 칼국수로 배를 채우는 손님들이 가득했으며, 의류·식품 등을 판매하는 매장에서도 구경하는 손님들로 발 디딜 틈이 없었다. 특히 일부 식료품 등을 판매하는 상가에선 외국인관광객까지 호기심 어린 눈으로 식품 등을 구경하고 있었다.하지만 시장 내 대부분의 식료품 상가에선 의무적으로 제시해야 할 ‘원산지’ 등이 전혀 보이지 않았다. 또 일부는 그저 종이 등을 이용해 ‘국내’란 명칭만이 기재해 놨을 뿐이다.상가만이 문제가 아니었다. 도로변 등에서 식료품을 판매하는 일부 노점에서도 ‘원산지’를 찾기는 힘들었다.한 노점상 주인은 “식료품마다 원산지가 적힌 표지판을 갖고 있다. 하지만 제품이 수시로 바뀌는 경우가 많아 그냥 제품만 진열할 뿐이다”고 말했다.다른 재래시장도 상황은 같았다.같은 날 오후 2시께 대구 중구 남산동에 위치한 ‘남문시장에서도 대형할인마트, 식료품 상가 등에서 식료품과 관련해 전혀 원산지 표시를 해놓지 않았다. 심지어 한 상가에선 손님 중 한 사람이 원산지 등을 묻자 짜증스러운 모습을 보이며 ’국내산‘이란 말만 되풀이하기도 했다.이에 대해 해당 구청에선 관리·감독을 해도 소용이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재래시장에서 식료품 등을 판매하는 상인들 대부분이 영세 상인들로 원산지표시제 등을 위한했다고 해서 범칙금 등을 부과하기엔 무리가 있다는 것이다. 또 일부 상가 등에서도 관리·감독을 실시할 때만 원산지 등을 표시하는 경우가 많아 실질적으로 무의미하다는 입장도 밝혔다. 더불어 올바른 원산지표시를 위해 구청에서 표지판을 제작, 배부까지 했지만 소용이 없다는 내용도 덧붙였다.경제과 석주현 경제진흥 담당은 “소비자들에게 올바른 식품이 전달될 수 있게 관리·감독을 펼치고 있지만 효과는 그때뿐이다”며 “해당 구청에서 인력을 배치해 감독해야 하지만 여건상 무리가 있어 다른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