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교육청은  18일 도교육청에서 교육정책과 주요 업무 추진에 대한「2014년 교육정책과 정책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날 교육정책과는 올해 추진하고 있는 정책의 추진 현황을 설명하고, 주요 내용에 대한 질의ㆍ응답과 의견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교육정책과에서는 꾸준히 이슈가 되고 있는 독도 사랑과 독도 수호 의지 강화를 위한 독도교육 강화를 위하여 모든 초ㆍ중ㆍ고등학교에 독도교육과정 10시간 이상 실시 월 1회‘독도 바로 알기의 날’운영 독도지킴이 동아리 및 독도체험탐방단 운영 6개 권역의 독도교육체험관 운영 등 학생들이 독도 사랑을 실천하고,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 및 역사왜곡에 능동적으로 대체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또한, 방과후학교는 도ㆍ농간 교육격차 해소와 학부모 사교육비 경감 및 특기·적성 신장을 위하여 분기별ㆍ학기별 수요 조사 및 만족도 결과를 반영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특히 농산어촌 방과후학교 운영 저소득청 방과후학교 자유수강권 초등돌봄교실을 운영하여 사교육비 부담을 경감하고 특기ㆍ적성 신장 및 문화ㆍ예술 체험을 통한 창의 인성교육에도 노력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방과후학교와 초등돌봄 교실 운영을 내실화한 결과 2013년도 사교육참여율 경감률이 도단위에서 1위를 차지하는 등 모두가 행복한 경북교육 만들기에 주력하고 있다. 실생활 영어 사용 능력 습득으로 글로벌 시대의 국가경쟁력 신장을 위한 실용 영어 교육을 강화하기 위하여 기존의 읽기와 듣기 위주의 평가 방식에서 탈피하여 말하기, 쓰기 평가를 더불어 실시하고, 중간고사, 기말고사 등 정기고사에서 수행평가 및 서술형평가를 40%이상 반영하도록 권장하며 원어민 영어보조교사ㆍ해외영어봉사장학생ㆍ영어회화 전문강사 606명을 영어교수 보조인력으로 배치하여 수준별 수업 및 회화 중심의 실용영어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학습권 보장과 사회적응능력 신장 및 가정생활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하여 상설모니터단 운영 및 순회교육지원을 통한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 활성화, 현장 수요 및 특성을 살린 맞춤형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확대, 장애학생의 방과후학교 운영 및 진로·직업교육을 통한 특수교육지원 강화에 역점을 두고 있다.    또한 교직 단체와의 협조 체제 구축을 통해 학교 현장의 갈등을 최소화하고, 원만한 단체 교섭을 통해 교원의 복지 및 근무조건을 향상시키는데 힘을 쏟고 있다. 이명수 교육정책과장은“꿈과 재능을 키워 행복을 주는 명품 교육 실현을 위한 새로운 교육정책을 추진함에 있어 학생들의 학습권을 최우선에 두고 충분한 논의와 의견 수렴을 거쳐 교육수요자들의 만족도를 제고하는데 중점을 두겠다.”고 말했다.이어 재무정보과의 주요 업무 추진 현황에 대한 설명이 있었다.◇재무정보과는 투명하고 신뢰받는 재무정보, 앞서가는 행정정보 실현을 위해 학비지원의 공정성 및 폐교재산 관리 강화, 재무업무 전문성 신장과 개인정보보호 강화를 통하여 수준 높은 교육행정서비스 제공에 중점을 두고 업무를 추진하고 있다. 특히, 학비지원 기준 확대로 소외계층에 대한 복지증진을 통한 교육 기회 균등을 실현하고, 2015년도부터 NEIS와 보건복지부 행복e음 정보시스템를 연계 운영하여 학부모의 편의 향상 및 만족도를 높일 계획이다.  또, 홈페이지 개인정보 유·노출 차단으로 클린 사이버 환경을 구축하여 개인정보보호를 강화하고, 예산집행의 효율성 및 교육기관 청렴도를 한층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각급기관의 회계업무 담당자에 대한 직무교육 강화로 전문성을 제고함으로써 신뢰받는 재무행정을 펼쳐 나갈 방침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