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17일 출자-출연기관을 대상으로 2013년도 추진실적에 대한 경영평가를 실시한 결과를 발표했으나 경영평가가 극히 부실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행정사무감사에서 조직개편이 시급하다는 지적을 받은 기관이 A등급을 받았는가 하면, 비리복마전이라는 지탄을 받은 공기업이 버젓이 B등급을 받은 까닭이다. 어떻게 해서 이런 결과가 나왔는지 대구시 평가부서부터 평가해 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평가결과는 13개 출자·출연기관 중 10개 기관을 대상으로 지난해 추진실적에 대한 경영평가를 실시한 결과를 보면 A등급 5개, B등급 3개, C등급 2개 기관이다. 그러나 A등급을 받은 대구문화재단의 경우 지난 12일 대구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시대적 문화 흐름에 발 빠르게 대처해야 함에도 불구 조직원이 한쪽으로 편중되는 등 업무추진이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어 조직개편이 시급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또 올해 국정감사에선 60%가 넘는 비정규직 인원 문제와 함께 목표대비 43.4%에 그치고 있는 재단 기금 적립률, 10% 수준에 불과한 예산 및 자체자금 현황 등이 도마에 올랐음에도 우수등급인 A등급을 받았다. 그런데도 A등급이라고 하니 평가척도를 공개해 검증받아야 할 판국이다.B등급을 받은 대구테크노파크는 `비리백화점`으로 불린 곳이다. 2012년부터 작년까지 간부직원 등이 공금 횡령과 업체로부터 뒷돈을 받은 혐의 등으로 입건되는 등 지난 2년간 각종 비리가 불거져 전임 원장이 임기도중 사퇴를 하는 등 ‘비리 복마전’에 비유될 만큼 곤혹을 치렀음에도 보통 등급인 ‘B등급’을 받았으니 어떤 시각에서 테크노파크를 봤기에 이런 결과가 나왔는지 해명과 함께 외부감사를 받아 봐야 할 상황에 놓였다.상벌은 공정하고 엄정해야 한다. 공적이 있으면 포상과 함께 인사상 특혜를 주는 등 `상찬의 원리`에 부합하는 조치가 있어야 한다. 극히 부진하거나 잘못이 있을 때는 당연히 댓가를 치르도록 해야 균형이 맞는다. 잘못을 눈감아 주는 것은 결코 조직사회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현실과 동떨어진 이런 평가결과를 놓고 연봉 및 성과급을 조정한다면 공기관의 비리는 해가 갈수록 더 심각해 질 것이다. 이번 평가결과는 출자·출연기관 비리에 대한 솜방이 처벌만 문제 삼을 일이 아니다. 공기관의 비리를 별 것 아닌 것처럼 여긴 탓이 아닌지 점검해 보기 바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