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브라질월드컵 조별리그 3경기에서 모두 상대의 활동량을 넘지 못했다는 분석이 나왔다.브라질월드컵 당시 테크니컬 스터디 그룹(TSG)의 기술위원으로 파견됐던 안익수 전 성남 감독은 4일 경기도 파주국가대표트레이닝센터(NFC)에서 열린 2014 KFA 콘퍼런스에서 ‘한국 대표팀의 월드컵 기술보고’라는 주제로 발표했다.보고서의 피지컬 데이터 분석 자료에 따르면, 한국은 러시아·알제리·벨기에와의 조별리그 3경기에서 모두 상대보다 많이 뛰지 못했다.우선 러시아와의 1차전에서 한국의 뛴 거리(전체 선수들의 그라운드 내 이동거리)는 108.13㎞로 113.81㎞를 뛴 러시아에 밀렸다. 알제리(113.82㎞)와의 2차전에서도 한국은 112.90㎞로 적게 뛰었다. 유일하게 벨기에전에서만 104.68㎞로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보고서는 브라질월드컵 우승팀 독일과의 비교를 통해 한국 축구의 현주소도 분석했다. 독일은 조별리그 3경기와 16강·8강·준결승·결승까지 총 7경기 평균 109.93㎞를 뛰었다.한국과 독일이 맞대결을 펼친 적이 없기 때문에 직접 비교는 어렵지만 독일은 미국과의 조별리그 3차전 외에 나머지 경기에서 모두 상대보다 많이 뛰었다. 특히 브라질을 7-1로 대파한 준결승에서는 상대보다 무려 10㎞(10.43㎞) 이상 더 뛰었다. 독일이 119.33㎞, 브라질이 108.90㎞를 뛰었다.세계축구의 흐름에 대해선 “포지션 파괴와 위치 변화를 통한 유기적인 전술 운영이 돋보였다”고 내놨다. 울리 슈틸리케(60·독일) 축구대표팀 감독이 강조한 전술의 유연성과 맥을 같이 한다.또 “공수의 빠른 전환을 통한 속도감 있는 경기 운영, 탈압박을 위한 간결한 터치, 패스 후 움직임에 대한 습관 및 공간 활용, 수비 밸런스를 통한 상대 차단, 골키퍼의 활동범위와 인지력이 돋보였다”고 분석했다.뛴 거리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이 체력의 효율성이다. 한국은 여기서도 높은 점수를 받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