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와 대구시티센터가 장애인의 이동권을 철저히 외면하고 있다”는 9일자 본지 보도는 대단히 충격적이다. 지난 3일은 유엔이 정한 ‘세계 장애인의 날’이었지만 어느 누구도 기억해 주지 않았다. 한국사회는 온통 청와대 문건유출과 소위 ‘문고리 권력’간의 암투로 인해 삼각파도에 휘둘리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사회이슈를 다루고 있는 케이블방송도 전국의 언론도 장애인의 날을 기억해 주지 않았다. 그처럼 한국사회에서 장애인으로 살아가려면 모든 것을 포기하고 죽은 듯이 살아야 한다. 장애인들은 생활시설에서 인권을 유린 당하고, 낙인과도 같은 장애인 등급제로 인해 당연히 받아야하는 서비스조차 받지 못하며 집밖에만 나가면 한발짝도 마음대로 움직일 수가 없다. 장애인에 대한 대구시의 인식이 어느 정도인지 본지의 뉴스를 인용한다.  “대구시티센터 앞 국채보상로 580 지하계단으로 내려가는 15번 게이트의 휠체어 리프트기가 작동하지 않는다(11월18일자 4면 참조)는 지적에도 시와 대구시티센터는 지금까지 점검조차 한번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헌장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확인하는데 20일로도 안 되는 대구시정이라면 우리가 바라던 ‘민선6기’와는 너무나 거리가 멀다. 권영진 대구시장의 시정철학은 “현장에 가야 문제에 대한 답이 보인다”고 말하고 있지만 공지작들이 민원을 다루는 행태는 여전히 과거의 권위주의에 갇혀 있다. 이는 권 시장 홀로 민생현장을 누비며 애로사항을 해결하려고 애썼을 뿐 부하직원들과 시정철학을 공유하지 않고 있거나 공직자들이 복지부동상태라는 의미가 된다. 사실 이번 문제는 시장이 나설 일도 아니다. 담당자가 즉각 나가서 해결하면 그만일 일상적 문제이지만 무신경하게 방치하면서 권 시장을 포함한 대구시 전체의 이미지를 나빠지게 만들었다. 결국 장애인에 대한 인식의 문제다. 지난 9월 새누리당의 한 부대변인이 장애인을 상대로 “다리 하나 더 없어져라”는 차마 입에 담기 어려운 폭언을 퍼부은 사건이 있었다. 이는 한국사회가 장애인에 대해 얼마나 편향된 시각을 갖고 있는지 반증한 것이다. 하지만 돌아보면 정상인들 모두가 사실 ‘예비 장애자’임을 깨달아야 한다. 자동차 1000만 대 시대에 날마다 장애인이 양산되고 있다. 멀리보면 나와 내 가족을 위하는 것이 장애자 복지다. 좀 더 사려 깊게 대응하기 바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