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중 은행 예금이 무려 21조원이나 늘어났다. 기업들의 결제성 자금이 유입된데다 11월 말일이 휴일인 탓에 대출금 상환과 세금납부가 12월로 밀렸기 때문이다. 10일 한국은행이 내놓은 `11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11월 한 달 동안 은행 수신은 21조원 불어났다. 7조3000억원이 늘어났던 지난 10월과 비교하면 증가규모가 3배 가까이 확대된 셈이다. 이는 기업들이 은행에서 받은 대출을 결제성 자금으로 입금하면서 수시입출식 예금이 10월보다 10조9000억원 늘어났다. 정기예금과 은행채도 각각 3조7000억원, 6조6000억원 증가했다. 반면 자산운용사의 수신 증가 규모는 크게 둔화됐다. 10월에는 21조8000억원 증가했지만 11월에는 2조9000억원 늘어나는데 그쳤다. 이는 10월에 들어왔던 금융기관 자금이 한꺼번에 빠져나간 탓에 머니마켓펀드(MMF)가 1조2000억원 감소했기 때문이다. MMF는 금리 등락이 펀드 수익률에 신속히 반영될수 있도록 한 단기금융상품이다. 11월 기업대출은 4조1000억원, 가계대출은 6조9000억원 증가했다. 대기업 대출은 기업들이 재무구조개선을 위해 대출금을 상환하고 운전자금 수요 등이 감소하면서 8000억원 감소했다. 중소기업 대출은 은행들이 연말 실적평가를 앞두고 대출을 확대한데다 기술신용대출이 늘어난 여파로 4조9000억원 확대됐다. 가계대출은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한 높은 수준의 증가세를 이어갔다. 11월 6조9000억원의 증가분 중 주택담보대출 증가분은 5조9000억원였다. 한은 관계자는 "지난 7월에 시행된 주택담보대출비율(LTV)·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완화와 기준금리 인하 효과가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광의통화(M2)증가율(평잔기준, 전년동월대비)은 10월(7.5%)보다 소폭 상승한 7%대 후반으로 추정된다. 은행 대출과 증권 투자가 확대되면서 민간 신용이 크게 늘었고, 경상수지 흑자와 외국인 자금 유입이 확대된 결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