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2006년 민선4기 출범이후 산업단지 68%, 입주기업 53% 증가했고, 산업단지내 1700여기업을 추가 유치하는 성과를 거두면서 경북의 미래를 알차게 가꿔 나가고 있다. 경북도의 희망은 2020년까지 산업단지 면적을 194㎢로 확대하고 주력산업 유치기반을 마련하는 등 산업단지를 경북의 중추적인 성장 동력으로 육성, 지원힌다는 것이다. 현재 경북도에는 국가산업단지 9개와 일반산업단지 76개, 농공단지 68개 등 154㎢의 면적에 153개 산업단지가 조성됐거나 조성 중에 있으며, 4900여업체가 입주해 18만1000여명의 근로자를 고용, 경북경제의 대들보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2006년 당시 91개 산업단지(105㎢) 3200여업체가 입주한 것과 비교할 때 실로 상전벽해에 비견될 발전상이다.특히 지리적인 위치상 산업단지와 기업 유치가 수월한 여건이 아님에도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산업단지수로는 전국 2위, 지정면적으로는 전국 3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특히 도는 지난해부터는 도내 산업의 선진화, 첨단화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제조업 위주의 산업구조를 젊은 층이 선호하는 지식기반 위주의 산업으로 탈바꿈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 결과 올 1월 19일 국토교통부에서 추진한 도시첨단산업단지 공모에 경산지구가 최종 선정돼 지정을 위한 절차를 진행 중이어서 머잖아 젊은 층을 유입이 눈에 띄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기존 노후산업단지의 리모델링도 착착 진행 중이다. 근로-정주여건 개선으로 산업경쟁력과 혁신역량을 강화하고 청년과 기업을 위한 혁신공간을 늘려 산업단지를 산업문화와 도시문화가 어우러진 혁신커뮤니티 공간으로 재창조하기 위한 구미1국가산업단지 구조고도화사업도 본격적인 착수를 앞두고 있다.경북은 하루가 다르게 변모하고 있다. 동해안 시대를 열어 갈 영일만 신항 건설과 포항-울산간 고속도로 개통에 맞춰 포항지역의 산업용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포항블루밸리 조성이 계획대로 진행 중이다. 김관용 도지사가 말했듯이 각종 규제완화와 특성화된 산업단지확충 등 기업이 활동할 수 있는 기반마련을 적극적으로 지원해 ICT융복합, 로봇, 첨단의료 바이오, 물융합, 에너지 등 미래먹거리 주력산업 육성을 통해 청년이 모이고 서민이 새롭게 일어서는 희망경북의 미래를 찾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