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와 대구기계부품연구원은 지역 주력산업인 자동차부품산업과 연계한 수요-공급 Needs 맟춤형 로봇시장 확대 및 핵심부품 기술고도화를 위해 ‘로봇산업 시장창출 및 부품경쟁력 강화’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2015년부터 2019년까지 5년간 총 185억원(국비 80억원, 지방비 80억원, 민자 25억원)을 투자해 자동차부품 로보틱 스마트화 제작 지원, 제조공정 로봇부품 활용 리엔지니어링 지원, 수요-공급 기업 간 파트너십 로봇핵심부품 개발 및 고도화 지원, 로봇부품기술 컨버전 R&BD 지원, 필드테스트베드 지원시스템 구축, 해외 기술사업화 지원, 현장기술 전문인력 양성 등의 사업을 추진한다. 이 사업은 로봇산업의 수요 및 공급 기반 구축, 현장 적용을 통한 국산로봇의 신뢰성 확보, 로봇 핵심부품 국산화를 통해 자생적 로봇시장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펼치는 사업이다.이번 사업을 통한 기대효과는 지역 신성장 로봇산업과 자동차 부품산업의 융합 및 기술 컨버전으로 동반성장 동력 확보와 로봇핵심기업 20개 사 증가, 1000억원의 매출 증대, 500명의 고용창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한편 대구시, 한국로봇산업진흥원, 대구기계부품연구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대구테크노파크, (사)대경로봇기업진흥협회, 경북대 산학협력단, 계명대 산학협력단으로 구성된 8개 기관이 ‘로봇산업 발전과 시장창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관계기관 간 협력을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국가 로봇산업 발전과 지역 로봇 수요시장 조성 지원을 위해서 상호간 보유 기술, 시설, 기업정보 DB, 전문인력 인프라에 대한 상호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로봇산업 발전을 위한 공동 노력을 하게 된다. 업무협약을 체결한 관계기관은 기관 간 협력을 통해 올해부터 시행되는 ‘로봇산업 시장창출 및 부품경쟁력 강화’ 사업에 참여해 지역기업 지원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업무협약은 5일 오후 4시께 대구기계부품연구원 글로벌홀에서 개최되는 ‘대구산업융합커뮤니티” 행사에서 체결한다.대구시 김연창 경제부시장은 “우리 시는 비즈니스와 기술의 선순환 촉진을 통해 대구지역 로봇산업이 성장 한계를 극복함과 동시에 기업투자 확대와 일자리 창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