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국비 20억원으로 1년간 남부권 신공항의 `입지 운명`을 결정할 사전타당성검토 연구용역에 착수한 가운데 인천국제공항공사 이호진 부사장이 영남권 신공항 건설이 필요하며 위치는 부산 가덕도가 최적지라고 밝혀 논란이 예상된다. 이 부사장은 3일 국토교통부 기자들과의 오찬간담회에서 "영남권 신공항은 가덕도에 건설하는 것이 좋다"며 "그 이유는 비행기 소음 민원이 해결될 수 있고 24시간 공항 운영이 가능하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부사장의 이 같은 발언은 종전 인천공항 측이 국가 허브공항인 인천공항에 국제선을 집중시켜야 하며 영남권 신공항은 필요하지 않다는 입장이었기 때문에 주목된다. 하지만 대구·경북에서는 이 부사장의 이 같은 발언이 확인되자 비난여론이 확산되고 있다.지난달 19일 영남권 5개 시·도지사회의는 `정부가 용역을 조속히 추진하되 용역기간은 1년 미만이어야 한다`는 것에 합의, 국토부가 입지를 포함한 사전 타당성 조사 용역 발주에 나선 상태에서 특정지역의 공항입지 우월성을 공개적으로 표현한 것은 적절치 않다는 지적이다.또 외국 전문업체를 통한 용역의 공정성 확보와 용역결과에 대한 영남권 5개 시·도의 수용을 전제로 국민적이고 지역적인 갈등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자칫 이 부사장의 이번 발언으로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이 부사장의 발언에 대해 `대구경북남부권신공항범시도민추진위원회` 관계자는 4일 "이 부사장의 발언은 지역갈등을 부추기고 국책사업의 공정성을 해치는 무책임하고 어리석은 발언이다"며 "필요한 모든 조치를 강구할 것"이라고 밝혀 상당한 파문이 예상된다.한편 국토부가 지난달 27일 최종 공고한 `영남권신공항 사전타당성검토 연구`는 과업의 범위(공간적 범위)를 대구와 부산, 울산, 경북, 경남지역으로만 게시했을 뿐 기존 입지로 유력하게 거론된 밀양이나 가덕도를 후보지로 한정하지 않았다.국토부가 이날 제시한 용역 과업지시서의 세부내용은 일반현황 조사와 분석, 최적 대안 선정, 향후 추진방안 제시 등 3개 분야로 요약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