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건설현장에 골재 재고가 바닥을 보이고 있어 건설 수요가 본격화되는 3월 이후엔 골재대란이 일어날 것이란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보설치 이후 낙동강의 모래채취가 금지됐고, 재고가 바닥이 나면서 골재수요를 감당할 수 없을 것이란 전망이다. 건설업계는 당장 쓸 모래가 없어 낙동강변 농지의 모래를 파내는 등 사태가 심각하다며 하소연하고 있다.이에 따라 각 지자체들은 낙동강 준설을 다시 허가하는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실정이다.환경단체에 따르면 낙동강 골재대란 사태는 4대강사업을 시작할 당시부터 전문가들이 예견했다.하지만 국토부는 2013년 연말에 연 제5차 골재수급기본계획에서 향후 5년간(2014~2018) 골재수급이 안정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대구환경운동연합은 4일 성명을 내고 “정부의 수급계획이 졸속으로 이뤄진 것이 확인됐다”고 비난하고, “환경파괴 문제에 대한 면밀한 조사와 분석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런 상황에서 또다시 준설을 강행한다는 것은 절대로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또 “낙동강에서 보를 설치하면서 평균 6m 깊이로 모래를 파낸 상태에서 또 다시 모래를 파낸다면 지천의 역행침식 현상으로 제방과 교량이 심각한 위험에 처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낙동강은 현재 골재 준설이 급한 것이 아니라, 낙동강을 다시 흐르게 하는 재자연화가 시급하다”며 “준설을 다시 감행하는 것은 낙동강 생태계를 다시 한 번 더 죽이는 것으로, 낙동강을 영원히 재생 불능의 상황으로 만들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낙동강 모래 공급의 주요원천은 영주 내성천으로 낙동강 모래의 50%이상을 공급한다”며 “마지막 4대강사업인 영주댐 공사를 즉각 중단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덧붙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