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은 2일 이병기 신임 비서실장을 비롯한 박근혜 대통령의 최근 인사 개편에 대해 맹공을 퍼부었다.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2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국정원장 출신인 이 비서실장에 대해 "국정원의 정치적 중립은 도대체 어떻게 된 것인가"라고 꼬집으며 "인사의 기본이 완전히 무너졌다는 탄식을 금할 수 없다"고 총평했다.문 대표는 새누리당 윤상현, 김재원 의원 등이 대통령 정무특보에 임명된 것과 관련, "국회의원은 정부를 견제, 감시하는 역할하는 헌법기관"이라며 "국회의원과 대통령 정무특보는 임무가 상충하기 때문에 (동시에) 맡을 수 없는 직책이다. 두 직책 중 하나는 사퇴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정청래 최고위원도 이 비서실장에 대해 "대단이 유례없는 참 나쁜 인사"라며 "박정희 정권 시절 이후락 전 중앙정보부장을 비서실장으로 임명한 것을 연상케 한다. 인사든 정책이든 미래로 가야지 과거로 가면 안된다"고 지적했다. 오영식 최고위원은 "정치적 중립을 전제로 국민과 국가의 안전을 위해 일해야 할 최고정보기관의 수장이 8개월만에 비서실상으로 임명된 유례없는 인사행태다. 참담함을 느낀다"며 "대통령의 인사는 원칙도, 기준도, 관례도, 특히 민심이 배제된 독선적인 잘못된 인사로서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유승희 최고위원 역시 "국회의원을 견제와 감시의 대상인 대통령 참모로 임명한다는 것은 3권 분립에 위배하는 것"이라며 "야당을 무시하고 박 대통령의 나팔수 역할을 해 온 인사들을 특보로 임명하는 것은 야당과의 대화를 소홀히 하겠다는 국회 무시 발상의 산물"이라고 지적했다. 김영록 수석대변인은 "이번 인사는 최악의 회전문 인사이자 민의를 배제한 독선적 인사"라며 "국민을 상대로 한 공작정치가 횡행하던 권위주의 시대로 회귀하는 것 아닌지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 박완주 원내대변인도 이날 현안 브리핑에서 "현직의원이 청와대 수석비서관 회의 자리에 앉아 박근혜 대통령의 지시사항을 수첩에 받아 적는 `적자생존`의 모습을 볼 것이라고 생각하니 `국회 위 청와대`라는 인식을 공고히 하겠다는 박 대통령의 의지를 보는 것 같다"고 꼬집었다. 이어 "현직 국회의원인 국무위원과 정무특보가 청와대의 지시를 받아 국회의결권을 행사하는데 어떠한 제한도 없는 것 또한 문제"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