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준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는 9일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시한부 장관` 논란과 각종 의혹에 대해 해명하는 한편 자신의 정책 비전을 제시했다.유 후보자는 우선 `총선 불출마` 여부에 대해 "답변하는 것이 적절치 않다"며 즉답을 피했고, 위장전입 의혹과 변호사 겸직 논란에 대해서는 "송구스럽다"며 사과했다.새누리당 이종배 의원은 이날 "해수부 장관은 임기가 짧기고 유명하다. 15명의 장관 중 11명이 임기를 채우지 못했다"며 "평균 재임기간이 9개월인 상황에서 해수부 관련 정책을 일관성 있게 하지 못했다는 평가가 있다"고 지적했다.새정치민주연합 황주홍 의원도 "총선에 출마하면 1년도 못돼 장관직을 그만둬야 한다. 유 후보자는 한 언론 인터뷰에서 내년에도 총선에 출마할 생각이 있다고 밝혔는데 맞는가"라고 몰아세웠다.이에 대해 유 후보자는 "청문회를 잘 마치고 취임해 얼마나 (장관직을)할지는 모르겠지만 그것은 인사권자의 권한이므로 답변하는 것이 적절치 않다"고 즉답을 피했다.그러면서 "장관직을 언제까지 할지는 모르겠지만 시간이 주어진 대로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유 후보자는 또 인사청문회가 시작되기 전부터 배우자와 본인이 아파트 분양과 총선 출마를 위해 위장전입을 했다는 의혹을 받아왔다. 변호사를 겸직하며 수익을 올린 점도 쟁점으로 떠올랐다.새정치연합 황주홍 의원은 "국무위원 후보자 4명이 위장전입 의혹을 받고 있어 `그랜드 슬램`이란 비판을 듣고 있다"며 "이 중 유 후보자가 적어도 3건이라 위장전입의 선두로 보인다"고 비판했다.이에 대해 유 후보자는 "송구스럽게 생각하고 공직자로서 처신을 잘 하겠다"고 사과했다.또 유 후보자는 "국회의원의 겸직금지는 2014년 전에는 허용이 돼 있었던 상황인데 이에 대한 언론보도가 있었다. 아니면 말고 식의 의혹이 나오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새누리당 윤명희 의원의 질문에는 "국민정서에 맞지 않는 점이 있었다"고 해명했다.`세금 부당환급` 의혹도 도마에 올랐다.유 후보자가 본인 후원금으로 들어온 것을 한나라당 특별당비, 박근혜 대통령 후보 후원회 등에 사용한 후 이를 연말정산 때 기부금으로 신고해 소득공제를 받았다는 것이다.새정치연합 황주홍 의원은 "후원자가 기부한 기부금은 당연히 소득공제 혜택을 받지만 유 후보자는 이를 기탁금을 낸 후 연말정산에서 소득공제 혜택을 받았다"고 지적했다.이에 대해 유 후보자는 "앞으로 이런 착오가 발생하지 않도록 후원금 관리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답했다.한편 유 후보자는 해수부 현안에 대한 각종 질문에 자신의 생각을 피력하며 정책 비전을 제시하기도 했다.유 후보자는 `세월호 인양 소요기간과 인양에 드는 비용 문제 등이 관건`이라는 무소속 유승우 의원의 지적에 대해 "(여러가지)검토를 마치고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결정이 이뤄지면 주무부서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겠다"고 말했다.또 `세월호 인양 비용이 크면 하지 말자는 의견도 있다`는 질문에 대해서는 "비용에 대해서는 가정적인 것이라 기술 검토와 공론화 과정을 통해 합리적으로 마무리하는게 필요하다"고 덧붙였다.수산물이력제 시행과 관련한 질문에 대해서는 "수산물 이력제는 오랜 기간 동안 시행을 거쳤음에도 아직 낮은 단계 보급률을 보이고 있다"며 "현재 자율참여제로 돼 있는 것을 어느 정도 참여할 수 있는 부분을 늘리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그는 "현재는 생산자 중심인데 유통자와 마지막 판매자까지 확대하는 것도 검토해야 할 것"이라며 "홍보부족으로 인해 많은 국민들이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도 문제인 만큼 다시 점검해 수산물이력제가 정착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