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를 피우는 중장년층은 주요 사망원인인 만성폐쇄성폐질환 유병률이 4배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만성폐쇄성폐질환은 흡연이나 대기중 오염물질 등에 의해 기도에 비정상적인 만성염증반응이 반복되면서 폐실질 조직이 파괴돼 기도가 좁아지는 질환이다.12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만 40세 이상 성인을 기준으로 비흡연자의 만성폐쇄성폐질환 유병률은 6.2%였지만 현재 흡연자의 유병률은 24.1%로 4배 높았다.남녀 모두 비흡연자에 비해 과거흡연자가, 과거흡연자에 비해 현재흡연자에서 만성폐쇄성폐질환 유병률이 높았다. 전체 40세 이상 성인의 만성폐쇄성폐질환 유병률은 13.5%이었으며, 여자(6.8%)에 비해 남자(20.6%)가 약 3배 정도 높았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유병률도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특히 남성에서는 60대 이후 급증했다. 그러나 이 질환을 알고 있는 환자는 극히 드물었다.만 40세 이상 만성폐쇄성폐질환 유병자 중 의사로부터 만성폐쇄성폐질환 진단을 받은 사람의 인지율은 2.9%로 유병자 100명 중 3명만 질환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만성폐쇄성폐질환은 질병에 대한 낮은 인지도와 높은 질병 부담비용 및 사회적 손실에도 불구하고 타 질환에 비해 효과적인 국가 관리체계와 관련 정책이 미흡한 실정”이라며 “적절한 관리시스템이 시급하다”며 “질병의 중증도가 상승할수록 의료비용의 손실이 높게 발생하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