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영덕 원자력발전소 건설계획이 오리무중이다. 영덕군의회 원자력특별위원회가 실시한 주민여론조사에서 건설반대의견이 압도적으로 나왔고, 야당에서 주민투표 주장까지 제기돼 진퇴양난의 입장이다.영덕원전 유치와 관련해 정부는 2011년 영덕군과 영덕군의회의 동의를 얻어 신규 원전 유치를 요청했고 영덕읍 석리, 매정리, 창포, 노물리 일대 320여만㎡를 신규 원전 4기 유치 지역으로 지정 고시했다.영덕군의회 원전특위는 13일 전체회의를 열어 여론조사 결과를 포함해 공론화를 위한 특위활동 등을 담은 보고서를 검토한 뒤 15일 임시회에서 원전특위 활동 결과 보고서와 결의안을 채택 상정할 예정이다.하지만 원전 유치 동력은 이미 상실되었다는 것이 영덕지역의 대체적인 분위기다.영덕군의회 원자력특위가 지난 8-9일 이틀간 여론조사기관 폴스미스 리서치에 의뢰해 영덕 지역 주민 1500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벌인 결과 찬성 여론은 35.7%에 그쳤고 반대는 58.5%로 나타났다.(자동응답 전화면접조사, 신뢰수준 95%, 표본오차 ±2.5%)60.9%가 ‘핵발전소의 안전성이 불안하다’고 응답했으며 ‘주민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의견도 66.5%였다. 정의당경북도당은 13일 성명을 내고 “이번 여론조사에서 드러난 결과는 영덕 군민의 중론이다“라며 “조사결과를 받아들이지 못한다면 주민투표로 민심을 확인하고 모두가 그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도록 하자”고 주장했다.이는 한국수력원자력이 이번 조사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인다’면서도 사실상 원전 건설 계획의 백지화 수순을 밟지 않고 있는데 대해 쐐기를 박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정의당경북도당은 “정부가 삼척에서 핵발전소 건설이 난항에 부딪히자 영덕에 ‘덤터기’를 씌우려고 했다”며 “만일 삼척에서처럼 주민투표를 부정할 경우 영덕 역시 삼척처럼 자치적인 주민투표를 진행해 정부를 타격할 것”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