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노인들을 상대로 각종 물품을 사기 판매하는 행위가 근절되지 않고 있다. 노인상대 사기범들이 쓰는 수법은 실로 다양하다. 무료공연이나 경품·선물 점심제공 심지어는 온천 등 무료관광 까지 미끼로 해서 노인들을 끌어 모은다. 모인 노인들을 상대해 노인성 질환 등에 효과가 있다는 허위 과장광고로 건강기능식품이나 의료기구 등을 판매한다. 노인들은 선물에 미안한 생각이 들면서 쉽게 물품을 구입하는 것이다. 옆 사람이 사면 덩달아 충동구매를 하는 노인들 심리도 작용된다. 지금 전국적으로 건강식품을 과장·허위 판매하는 사기판매업자들이 갈수록 기승을 부려 경찰에서 특별단속을 벌이고 있지만 검거된 자들은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 법과 처벌이 미약하다보니 수많은 업자들이 점점 더 대담하고 교묘하게 전국적으로 조직화하여 활개를 치고 있다. 이들에 의해 판매되는 물품들은 수만원에서 수십만원에 이른다. 경제력이 없는 노인들이 스스로 이를 부담하기에는 벅찬 게 사실이다. 물품을 구입한 후 가족들과 돈 문제로 갈등을 빚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들은 이른바 ‘바지사장’을 내세우고 경찰에 단속되면 대신에 처벌받도록 하는 조직이 대부분이다. 그러다보니 경찰에 단속이 되어도 전국을 돌며 범죄를 저지른다.실제로 구미시 도개면 군기리의 한 창고에서 노인들을 상대로 불쇼 민요 국악쇼 등의 공연을 하면서 밀가루와 설탕, 세제, 휴지 등을 공짜로 나눠주고 노인들이 거절하지 못하도록 한 뒤 전기매트와 수의, 신발 등을 매입가 대비 2-3배 많은 금액에 판매해 단기간에 1500만원 상당의 판매고를 올린 일당을 검거했다. 구미경찰은 이들로부터 물품을 구매한 노인 16명 중 구매 철회 의사를 밝힌 8명은 구매를 철회하도록 조치했다. 지난 2일의 일이다.이처럼 노인 등 힘없는 사람들을 상대로 허위·과대광고로 폭리를 취하고, 사무실을 임대해 몇 달 씩 사행성을 조장하는 것을 방치하면 악순환은 거듭될 뿐이다. 이번에 구미경찰이 사기 판매범들을 입건한 것은 그나마 다행한 일이지만 근절책이 되지 못 하고 있어 안타깝다.노인들을 상대로 한 사기판매행각이 사라지지 않은 이유는 무엇보다 법의 처벌이 미약해서 그렇다. 당국은 지금처럼 형량이 약해서 악순환을 거듭하고 있는 불법 사기판매행위 처벌에 대한 법규 제정을 서둘러야 한다. 동시에 언론 등을 통해 홍보와 교육을 하여 국민들의 관심을 높여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