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친환경에너지타운 조성사업에 경주와 영천을 포함한 전국의 10곳이 선정됐다. 친환경에너지타운은 기후변화 위기를 새로운 기회로 활용, 환경과 에너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면서 발상의 전환을 통해 창조마을로 바꾸는 에너지신산업 육성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에 선정된 친환경에너지타운은 소관부처 주관하에 기본설계 등 준비기간을 거쳐 사업별 여건에 따라 2-3년에 걸쳐 추진된다.친환경에너지타운 조성의 특징은 소각장, 가축분뇨처리시설, 하수처리장 등을 지역특성을 활용해 다양한 사업모델을 만들고 주민소득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선진국에서 오래전부터 시행 중이었음은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몇 몇 도시에서 부분적으로 시도하고 있어서 전혀 새로운 발상은 아니다. 다만 해당 시설들이 하나같이 혐오-기피시설로 인근 주민들의 민원의 대상이었던 것을 본격적으로 탈바꿈시켜 주민 소득으로 연결시킨다는데서 큰 의미를 찾게 된다.경주의 경우 천군동에 소각장 폐열과 주민기금을 활용한 태양광발전사업(300㎾)을 벌인다. 한편 오토캠핑장도 설치해 주변 관광지인 보문단지와 연계한 추가 사업도 발굴할 계획이다. 그렇게 해서 연간 2억1000여만원의 수익을 거둔다는 계획이다. 여기서 특별히 눈여겨 볼 대목은 주민지원기금 100억원이다. 이는 지난 10년간 소각·매립장운영과정에서 발생한 주민지원금을 가가호호 분배하지 않고 모두 적립해 기금으로 마련한 것이어서 의미가 각별하다. 영천시는 오는 5월부터 2017년까지 영천시 도남동과 금호읍 구암리 일원에 사업비 148억원(국비 88, 지방비 40, 융자 및 기타 20)을 투입해 슬러지처리시설, 악취저감시설, 농작물 온실설치, 전기자전거 이용시설, 신재생에너지 체험장 등을 설치할 계획이다. 사업대상지에는 영천시 환경사업소가 위치해 있으며 가축분뇨처리시설, 하수처리장, 도축장 등 환경기초시설들이 밀집해 있었지만 그간 법률에서 정한 주민지원이 없었는데 이번에 환골탈태하는 대변신을 꾀하게 된 것이다. 사업이 완료되면 사업예정지 인근 경로당 및 마을회관에 태양열보일러 설치 등 주민편익시설 설치와 슬러지처리시설 설치운영에 따른 지역주민들의 운영인력 우선 채용 등 주변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이 기대된다. 유사환경지역에 모델이 되면서 혐오-기피시설 조성의 탈출구가 되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