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안 울릉도 주변에 반경 100㎞ 크기의 해류 소용돌이가 발견됐다.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은 지난 수개월 동안 인공위성과 조사선을 활용한 관측자료 등 각종 해양관측 자료를 분석한 결과, 울릉도를 중심으로 반경 100㎞의 소용돌이 안에 따뜻한 해수가 갇혀있는 대규모 해양현상이 지난해 12월 말 시작돼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고 16일 밝혔다.동해는 북쪽으로부터의 한류와 남쪽으로부터의 난류가 계절별로 그 세기를 달리하며 만나는 해수흐름이 복잡한 해역으로, 크고 작은 소용돌이성 해류의 생성과 소멸현상이 반복되고 있다. 하지만 이번에 분석된 것처럼 소용돌이 흐름이 수개월 동안 한곳에 유지되는 것은 상당히 이례적인 현상이라고 해양조사원은 설명했다.소용돌이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울릉도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의 회전성 흐름을 보이며, 반경 100㎞ 이상의 오목렌즈 모양으로 수심 250m까지 10도의 고온의 해수가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일반적으로 소용돌이는 해양에서 열과 염, 영양염류 운반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동해에서 물리학적(physical)으로나 생지화학적(biogeochemical)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