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의 10-25%, 남자의 5-12%가 평생에 한번은 우울증을 경험한다고 한다. 이처럼 우울증은 흔한 병이다. 그래서 우울증을 ‘마음의 감기’라고 하는 건지도 모른다. 이번에는 흔하지만 위험하고 위험하지만 그냥 지나치기 쉬운 ‘우울증’에 대해 담아보았다.우리나라 성인 8명 중 1명은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의 슬픔과 절망을 느끼는 우울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지만 이를 전문 의료기관 등에서 상담·치료받는 비율은 10%에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질병관리본부가 발표한 ‘한국 성인의 우울증상 경험’ 보고서에 따르면 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전국 3천840가구 대상) 결과, 19세 이상 성인의 12.9%가 “최근 1년 안에 우울증을 경험”했으며, 성별로는 여성(16.5%)이 남성(9.1%) 보다 1.8배 많았고, 연령별로는 70세 이상(17.9%) > 60대(15.1%) > 50대(15.0%) > 40대(12.9%) 순으로 나이가 많을수록 우울증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가구 소득별 우울증 비율은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우울증 경험률이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나 저소득층이 15.3%로 가장 높게, 고소득층이 10.9%로 가장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이 같은 현실에서도 우울증상을 경험한 사람 중 최근 1년간 정신건강 상담을 받은 경우는 9.7%로 100명중 10명 미만에 불과했으며, 상담기피 정도는 여성보다는 남성이, 젊은 층보다는 65세 이상 노인층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단국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경규 교수는 여성에게 우울증이 많은 이유에 대해“호르몬의 차이, 월경, 임신, 출산이라는 요소가 우울증에 관여하기도 한다고 했다.남녀 간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가 서로 다르고, 스트레스에 대한 남녀 간의 대처능력의 차이 때문이기도 하다”고 했다.“여성의 뇌가 슬픔에 유난히도 민감하며, 생리와 임신, 분만 그리고 폐경이라는 특별한 시기에 성호르몬의 변화가 감정의 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에 여성에서 우울증이 많다”고 부연했다.우울증의 원인의 생물학적요인은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으로 인해 우울증이 초래될 수 있다. 약물치료는 이러한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함으로써 우울한 기분을 바꿔주게 된다.우울증이 있는 부모나 형제, 친척이 있는 경우 우울증에 걸릴 확률이 높으나 병 자체가 유전되는 것은 아니므로 우울증환자 가족이 모두 우울증에 걸리는 것은 아니다.사랑하는 사람의 죽음, 이별, 외로움, 실직, 경제적인 걱정 등의 생활사건은 우울증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갑상선·뇌졸중·고혈압·암·당뇨병 등의 신체적인 질환이 우울증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기도 하나, 반대로 우울증이 환자의 신체를 약화시켜 병에 걸리는 경우도 있다.때때로 우울증은 일부 고혈압약·결핵약·피임약·이뇨제나 두통약 등과 같은 특정약물의 부작용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다른 약물과 술을 같이 마시게 되면 우울증이 더욱 악화될 수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