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7~28일 기업인들과 공식간담회를 가질 예정이다. 15개 대기업 그룹 총수 또는 최고경영자가 참석하는 이번 간담회는 문 대통령 취임 이후 기업인과 가지는 첫 공식 회동이란 점에서 기대가 크다. 간담회 형식도 과거 정부와는 사뭇 다른 것으로 전해졌다. 참석 기업을 두 그룹으로 나눠 이틀간에 걸쳐 진행하는 것부터 독특하다. 또 형식도 시간 제약이 많은 오찬을 피해 비교적 여유가 있는 만찬으로 진행된다. 종전처럼 대통령의 말이나 듣고 헤어지는 자리가 아니라 ‘실질적인 대화’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게 청와대 생각이어서 주목된다. 기업인들과 대통령의 만남은 시기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문재인정부가 재벌개혁을 표방하는 데다 최저임금 인상, 법인세 인상, 일자리 만들기 등 기업 부담이 커지는 정책을 펴고 있지만 기업의 견해를 들을 기회는 없이 일방 독주형이었다. 더구나 정부 출범 초기에 김영배 경영자총협회 부회장이 일자리정책을 비판했다가 청와대로부터 “반성부터 하라”는 질책을 받은 이후 재계는 극도로 의기소침해진 상태다. 심지어 경총이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에 반성문 성격의 서한을 보냈다는 소문까지 나돌았을 정도다. 따라서 양자 간 껄끄러운 관계를 해소하기 위한 대화와 소통의 필요성이 어느 때보다 커졌다. 더욱 기업의 적극적인 도움 없이는 어느 정책도 성사시키기가 어렵게 돼 있다. 기업인들이 마음을 열고 대화의 장에 나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기업인의 소리를 많이 듣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 종전처럼 열심히 메모나 하는 주입식이거나 결론을 미리 내어 놓고 주문하는 식이어서는 곤란하다. 오찬보다 만찬을 택해 이야기할 시간을 많이 만들었듯이 기업인들이 허심탄회하게 대통령과 만날 수 있어야 한다.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에서 계급장과 받아쓰기와 사전 결론을 없앴듯이 이번 기업인과의 대화도 기업인들의 사기를 진작시키는 기회가 됐으면 한다.박근혜 정권에 이르기 까지 역대 정권들이 대기업 총수들을 불러 투자와 고용을 고답적 자세로 주문한 형식을 지양해야 한다. 기업들의 현장의 고충을 듣고 정부가 도울 수 있는 일이면 과감하게 수용하고, 모범적인 기업에 대해서는 세제 등의 혜택으로 격려해야 한다. 새정부에서는 정권에 검은돈을 갖다 바치고 특혜를 받아 챙기는 못된 짓거리가 발을 붙이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기대이상으로 소득이 많은 기업인과의 대화가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