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사학재단이 운영하는 대구지역의 한 특성화고등학교를 둘러싼 비위의혹과 관련해 대구지역 교원단체가 대구교육청의 철저한 감사와 함께 사법당국의 수사를 촉구하고 나섰다.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하 전교조) 대구시지부 회원 30여명은 15일 오전 대구시 수성구 대구교육청 본관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교육기관에서 발생한 경우라고는 믿을 수 없는 일들이 A고등학교에서 버젓이 행해지고 있다고 주장했다.A고등학교에서는 최근 여교사에 대한 출산휴가 및 휴직 사용 제한, 교직세습, 수당 없는 초과 근무 강요, 재단이사장에 대한 금품제공과 수수, 특정 교사에 대한 사퇴 강요, 교사 블랙리스트 작성 등의 의혹이 제기됐다.이후 시민사회단체들은 강하게 반발했고 성명발표와 1인 시위와 청와대 청원이 잇따랐다.논란이 확산되자 대구교육청은 감사에 착수, 일부 비위를 적발해 재단 측에 관련자에 대한 징계를 요구했지만 대부분의 비위의혹에 대해서는 관련 진술이 엇갈린다거나 사실 확인이 어렵다는 이유로 무혐의 처리했다.하지만 오는 17일 예정된 대구교육청 대상 국회 국정감사에서 A고등학교 비위의혹과 대구교육청의 대응 등이 주요 의제로 다뤄질 것으로 알려져 파장이 일 것으로 예상된다.전교조 대구지부는 이날 기자회견문을 통해 “대구교육청은 그동안 구체적인 피해자 진술이 있었음에도 적극적인 문제해결의 의지가 결여된 태도로 일관했다”며 “A고 사태에 대해 대구교육청의 책임을 물을 수밖에 없는 이유다”라고 주장했다.이어 “A고는 한 해 100억원이 넘는 금액을 지원받는 대규모 사립학교이지만 정작 법인은 자신이 부담해야 할 법정 전입금은 거의 부담하고 있지 않고 있다”며 “상황이 이러함에도 대구교육청은 제대로 된 감시조차 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그러면서 “공교육의 절반인 사학이 사유재산이 아닌 ‘공공기관’으로 거듭나기 위한 법적 제도적 보완이 무엇보다 절박한 상황이며 이를 위한 교육당국과 정치권의 노력 또한 시급히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강조했다.전교조 대구지부는 또한 “대구교육청은 지금이라도 A고등학교의 투명성과 공공성을 확보하기 위한 행정조치를 취해야한다”며 “A고 사학재단의 임원 승인을 즉각 취소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