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B금융지주의 지배력 강화 내용을 담은 ‘선진화 개선 방안’이 새로운 암초와 함께 큰 저항에 직면하게 됐다.DGB은행노조(위원장 김정원·이하 노조)는 지난 14일 지주 측의 선진화 개선 방안에 대해 은행 내·외부에서 지주의 지배력 강화를 위한 꼼수라는 비판이 연일 제기되자, 성명서를 내고 “최근 은행과 지주 경영진 간의 갈등 양상에 대해 참담함과 분노를 느낀다”며 지주사와 회장-은행 측에 조직 안정과 직원 보호에 최우선을 둔 경영을 촉구했다.특히 “지주사와 회장은 자신들의 주장이 감독당국이 요구하는 선진적 기준에 의한 것이라 할지라도 은행 직원들의 생각을 귀 기울여 듣고, 수용할 것은 수용하며 사심없이 오직 조직 전체의 발전임을 직원들에게 상세히 설명하고 공감을 얻어야 할 것”고 강조했다.노조는 “우리 조합 역시 지금까지 진행과정만으로는 은행장 후보 추천권을 지주 이사회가 가져가는 것에 대한 당위성을 충분히 납득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최근 지주 측이 추진 중인 선진화 개선 방안과 관련해 지주 측의 소통부재와 지주 회장의 은행장 겸직 가능성과 의도(?)에 대한 강력한 경고로 풀이된다.이어 “(지주)회장은 이러한 제도변경이 왜 필요한지지에 대한 이해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권력이 집중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하는 강력한 장치를 마련 할 것”을 요구했다.또한 “은행장의 인사권 등 자회자의 경영자율권을 보장하는 조치를 통해 직원들의 우려와 불신을 해소할 것”을 강조했다.이 역시 최근 지주 측이 추진해 온 선진화 개선 방안이 조직의 건전한 발전과 지역주민에 대한 신뢰회복, 직원 치유와는 거리가 있다는 비판을 상기시킨 것으로 분석된다.은행 측에 대한 경고도 함께 했다.노조는 그간 은행 측 사외이사들이 은행장의 거수기 노릇을 해 왔다는 점을 지적한 후 “조직을 위기로 빠뜨린 책임의 중심에 있었음을 망각하지 말고 더 이상 (지주 측과의)갈등을 야기하지 말고 접점을 찾는 대화에 적극 나설 것”을 요구했다.은행의 3급 이상 간부로 구성된 제2노조는 오는 15일 민주노총 대구지역본부에서 창립총회를 갖고, 최근 지주 측이 추진해 온 선진화 개선 방안 등에 대한 재고 및 반대 의견을 낼 것으로 알려져 DGB금융그룹의 지배구조를 둘러싼 논란이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될 것으로 보인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