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왕이 훈민정음 해례본 ‘어제훈민정음’ 편에서 명칭을 붙였으나 ‘신제(新制: 새로 만든 것)’를 셈법의 기준으로 삼아 훈민정음 28자에는 포함시키지 않은 6개의 글자가 있다. 창제 당시엔 ‘느리고 긴 소리’를 나타냈으나, 일제 치하 시 얼토당토않게 된소리 표기로 왜곡된 전탁성(全濁聲) ㄲㄸㅃㅉㅆㆅ이 바로 그것이다.  그런데 세종께서는 이 여섯 개의 쌍자음 글자를 창제할 때, 대체 어디에서 착상하여 ‘ㄱㄷㅂㅈㅅ’과 ㅎ을 두 번 나란히 쓴 모양으로 정한 것일까? 국보 제70호인 훈민정음 해례본에는 쌍자음의 제자 원리 또는 그와 관련된 결정적인 단서의 말이 적혀있다. 하지만 1940년 훈민정음 해례본의 발견 이래 지금까지 학술계는 아음(牙音)의 상형과 관련된 해례편 1장 뒷면의 오자 ‘ㄱ’ 부분(牙音ㄱ, 象舌根閉喉之形)에 관심이 오랫동안 정체하는 바람에, 쌍자음 창제의 단서가 되는 글이 있음은 전혀 인지하지 못했다. 오자를 정정하면, 훈민정음 제자원리와 관련된 제반 인식이 바로잡힐 수 있다. 훈민정음 언해본에는 ㄴ을 병서한 ㅥ도 보이고 ‘ㅇ’을 나란히 쓴 글자도 있지만, 훈민정음 해례본에서 공식 명칭이 부여된 쌍자음은 ㄲㄸㅃㅉㅆㆅ 뿐이다. 이 6개의 전탁 쌍자음은 어금닛소리 ㄲ부터 시작한다. 그래서 세종대왕과 집현전 8학사(이 중 ‘정인지’는 대학사이고 ‘강희안’은 단종 때 집현전 직제학이 됨)들은 전탁성의 대표 격인 ㄲ 부분에 쌍자음 관련 설명을 남겨놓았다. 훈민정음 해례본 내 ‘훈민정음해례’ 편 4장 앞면에는 ㄲ의 글자꼴에 대한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牙屬木. ㄱ木之成質, ㅋ木之盛長, ㄲ木之老壯, 故至此乃皆取象於牙也.” 해석하면, “아음은 (오행으로) 나무에 속한다. 아음 ㄱ은 나무가 바탕=본체를 이룬 것이요, ㅋ은 나무가 무성히 자란 것이며 ㄲ은 나무가 늙었지만 장대한 모습인 고로, 이 아음에 이르러서는 ㄱㅋㄲ 모두 ‘牙(어금니 아)’에서 그 글자꼴을 취하였다”이다.이 기록에서는, ㄱ과 ㅋ은 물론 쌍자음인 ‘ㄲ’ 까지도 牙(어금니 아)에서 그 글자체를 취하였다고 명백히 증언하고 있다. 물론, ㄱ과 ㅋ은 어금니 실물 또는 현대식 한자 ‘牙’자에서가 아니라 그것의 고대 청동기 금문 자형에서 글자꼴을 취했다. 그래서 세종 26년 2월 20일 최만리, 신석조, 김문, 정창손, 하위지, 송처검, 조근 등이 함께 올린 상소에서 “자형은 옛 전문을 모방했다(字形雖倣古之篆文)”고 한 것이다. 그러나 얼핏 봐서는 ‘牙’의 금문에서는 ‘ㄲ’과 같은 형태가 보이지 않아 해례본 문구가 잘 이해되지 않을 것이다.  어금니는 윗니와 아랫니의 오목볼록한 요철 부위가 서로 절묘하게 맞물려 쌍을 이루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래서 ‘牙’의 금문 자형 또한 사진에서처럼 비록 90도 회전시키긴 하였지만 서로 맞물려있는 두 개의 어금니 한 쌍을 그린 글자체이다. 바로 거기에서 세종은 아음의 기본 자형인 ㄱ을 두 번 연속해서 쓰는 쌍자음의 자형을 착상하였을 것이다. 다만, ㄱ을 두 번 연이어 쓰되 ‘牙’의 금문처럼 두 개의 어금니가 서로 방향이 달라 복잡하게 느껴지는 형태가 아니라, ‘齒(이 치)’자의 소전체에 들어있는 ‘ㅆ’과 같은 가지런히 정렬되고 간결한 형태로 응용하여 ‘ㄲ’의 자형을 새로이 창제하였다. 이는 전탁이 느리고 긴 소리, 곧 전청보다 두 배로 긴소리라는 점을 시각적으로도 만족시키는 안성맞춤의 자형이었다. 이렇게 ㄱ의 전탁 자형이 ㄱ을 두 번 나란히 병서하는 ㄲ의 형태로 정해지자, 뒤이어 ㄷㅂㅈ과 ㅎ의 전탁성 또한 일관되게 ㄸㅃㅉㆅ으로 정해졌음은 더 논할 필요가 없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