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8호 태풍 ‘미탁’으로 경북도내 21개 시군에 1113억원의 피해가 난 것으로 최종 집계됐다.22일 경북도에 따르면 태풍 ‘미탁’으로 도내 21개 시군에서 1113억원의 피해가 났고 복구에 필요한 총 사업비는 6144억원으로 최종 집계됐다.시군별 피해 규모는 울진이 가장 많은 540억원, 영덕 298억원, 경주 95억원, 성주 65억원 등이다.이들 4개 시·군은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됐다. 도내 피해시설에 대한 복구비용은 사유시설이 113억원, 공공시설은 6031억원이 필요한 것으로 집계됐다. 경북도는 중앙과 합동조사단을 구성해 지난 11~17일까지 정밀조사를 하고 복구계획도 세웠다. 도는 복구계획에서, 매년 반복되는 태풍 및 집중호우 때 주택, 상가, 공장,  농경지 등 상습 침수를 예방하고자 배수펌프장 9곳(울진 4, 영덕 3, 성주 2곳)을 신규 또는 증설하고, 하천 18곳(울진 8, 영덕 7, 성주 1, 경주 2곳)과 교량 1개 등 28곳의 시설을 기능복구가 아닌 개선복구를 하기로 했다. 복구 사업비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행정안전부)와 기획재정부의 협의 후 다음달 초 확정될 예정이다. 경북도는 피해조사가 시작되기 전 피해가 심각한 울진, 영덕 지역에 특별재난지역을 지정해 줄 것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행정안전부)에 건의해 지난 10일 특별재난지역이 선포됐다. 경주시와 성주군에 대해서도 합동조사단의 신속한 조사로 지난 17일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됐다. 경북도는 피해지역 주민들의 불편이 조기에 해소되도록 주택 침수 및 농어업 피해 등 사유시설에 대해서는 재난지원금을 빨리 지급하고, 공공시설에 대해서는 재해복구 사업을 신속히 추진하는 등 모든 행정력을 동원하기로 했다.이철우 지사는 열악한 지방 재정형편을 고려해 행정안전부에 특별교부세 추가 지원을 건의하는 한편 전 행정력을 동원해 피해가 난 시군의 주민들이 추위가 오기 전에 보금자리로 돌아 갈 수 있도록 임시 임대주택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또 공공시설에 대해서는 신속한 복구비 집행을 위해 재해복구 사업 조기추진 TF를 구성해 내년 우수기 전에 복구를 완료하고 대형공사는 조기에 주요 구조물 공사가 완료될 수 있도록 우선 시공하라고 관계자들에게 지시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